차크라의 의미는 티베트 바즈라야나(Vajrayana) 불교와 힌두교에서 명상 수행에 기반한 현대적 해석 사이에서 다르다.
차크라
불교 vs. 힌두교

티베트 전통에는 탄트라 명상 수행에 중요한 세 가지 차크라가 있다. 이 차크라는 왕관(Crown), 목(Throat), 심장(Heart) 차크라와 같은 티베트 시스템 전반에 걸쳐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티베트인들이 부처님께 엎드릴 때 이 세 가지 차크라를 만지는 등 티베트 종교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티베트 탄트라 바즈라야나에서는 4, 5, 7 또는 10개의 차크라 시스템이 해석되어 있지만, 이 중 일부는 수련을 많이 한 요기에게만 제공된다. 예를 들어, 경험이 풍부한 수련자들을 위한 마니푸라와 스와디스타나 차크라가 포함된 5 차크라 시스템이다. 모든 티베트 탄트라 수련은 감독과 지도가 필요하다.

티베트 차크라는 각각 다른 수레바퀴의 바퀴살로 표현되는 반면, 힌두 차크라는 여러 개의 꽃잎으로 표현된다.

728x90
반응형
'BoOk 티베트 싱잉볼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크라란 무엇인가? (0) | 2025.06.18 |
---|---|
싱잉볼 종류 (0) | 2025.06.16 |
싱잉볼 연주법 - 스트라이크(STRIKE) 기법 (0) | 2025.05.23 |
싱잉볼 연주법 - 세 손가락 플레이(THREE FINGER PLAY) 기법 (0) | 2025.05.21 |
싱잉볼 연주법 - 플레이(PLAY) 기법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