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증상 18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환자의 숨겨진 증상 : 우울증과 무관심 - 2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5년 1월 22일 내용을 정리했다. 파킨슨병 환자의 질환적 증상과 직간접적 관련된 감정적 증상을 전문가인 의사와 환자와의 대화 내용을 정리하였다. 감정적 증상이 어쩌면 파킨슨병의 떨림, 마비 등등 보다 더 쉽게 찾아오는 증상 같다. 환자들이 잘 극복하고 함께하는 가족들과 의사들이 동감해 주기를 바란다. ​​​" 운동장애 전문가가 입장에서 환자들을 만나 우울증, 무관심, 불암감을 치료하면서, 파킨슨병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가 있을까요? " ​​​ ​Irene RichardMD, a movement disorder specialist and professor of neurology and p..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과 운동 Q&A -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5년 1월 15일 내용을 정리했다. 파킨슨병과 운동에 대한 궁금증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이해가 나가는 문답 시간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운동이 효과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과 방법을 찾아 나가기를 바란다.  ​​" 많은 사람들이 파킨슨병에 가장 좋은 운동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한다. " ​​​   ​Rachel Dolhun​MD, MJFF Principal Medical Advisor​       운동은 우리 모두의 손끝에 있는 정말 강력한 도구이다. 특히 뇌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파킨슨병과 함께 생활하는 데 강력하다. 운동은 증상을 줄이고 약물이 더 잘 작동하도록 도울 수 있다.   운동은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증상 보행 문제 - 5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10월 23일 내용을 정리했다. 느린 걷기, 흔들리는 걸음, 발 끌기 등 보행 문제는 파킨슨병의 증상일 수 있다. 전문가들을 물리적 재활에서부터 심부자극술(DBS) 등을 통해 보행을 원활하게 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제 로봇까지 보행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파킨슨병 보행 연구에 대한 최신 소식을 전하고자 한다. ​  ​" 보행문제 해결을 위한 로봇 연구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    ​Anat Mirelman​The associate professor at the Sackler School of Medicine and Sagol School of N..

리보플라빈 결핍, 비타민 B2 결핍(Riboflavin Deficiency, Vitamin B2 Deficiency)

" 리보플라빈 결핍은 대개 비타민이 낮은 식이 또는 흡수 장애로 인해 다른 비타민 B군 결핍과 함께 발생한다. "  비타민 리보플라빈(비타민 B2)은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요소)과 (에너지 생성을 위한) 탄수화물을 처리(대사)하는 데 필수 요소이다. 또한 (구강 내막 등) 점막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리보플라빈은 독성이 없으므로 과도한 양의 리보플라빈을 섭취하는 것은 우려사항이 아니다. 리보플라빈의 좋은 공급원은 우유, 치즈, 간, 육류, 어류, 달걀, 강화 시리얼 등이다.  리보플라빈 결핍 원인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리보플라빈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충분한 육류, 강화 곡류, 유제품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 다음은 리보플라빈 결핍 위험을 증가시킨다. 만성 장애(재발성 설사, 간..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임상실험 참여 -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6월 26일 내용을 정리했다. 임상실험에 참여하는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단순한 정보에서부터 고려해야 할 정보들을 설명해 주고 있다. 파킨슨병 환자들이 임상실험 참여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나눈 이야기를 게시한다.  ​ ​​"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에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다양성이 왜 필요한가요? "​    ​​    Paulina Gonzalez Latapil​MD, a movement disorders specialist and an assistant professor of neurology at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 1편

"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의 증상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될 수 있다. 증상의 강도는 경증과 중증을 왔다 갔다 한다. 그러나 장애가 심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서 몇 년이나 수십 년간 같은 강도로 유지되기도 한다. "  일시적으로 자아감을 상실하고(이인화)/또는 현실감이 상실된 느낌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사람들의 약 절반은 한 번쯤 자신이나(이인화) 주변 환경(현실감 상실)에서 분리된 느낌을 경험한다. 이러한 느낌을 경험하는 경우는 대부분 다음과 같다.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경험한 후특정 약물 복용(마리화나, 환각제, 케타민 또는 메틸렌디옥시메스암페타민[엑스터시] 등) 후심하게 피곤한 후수면을 하지 못하거나 감각 자극을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환자의 통증 관리 -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5월 29일 내용을 정리했다. 파킨슨병 환자들에게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여러 가지 통증이 찾아온다. 크게 드러나는 통증도 있지만 주변 사람들이 알지 못하게 발생하는 통증도 많다고 한다. 환자들 통증의 원인이 확인되어 불편하지 않은 삶을 살기를 소망한다.   " 파킨슨병 환자분들은 어떤 통증을 주로 말하나요? 그리고, 파킨슨병의 일부인지 파킨슨병과 다른 노년기, 관절염과 관련된 통증인지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요? "​      Lillie Rosenthal DO, a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ysician in New York City, an..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진단 후 알고 있었야 하는 정보 - 2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5월 15일 내용을 정리했다. 파킨슨병은 퇴행성 신경 질환이기에 몸의 이상과 함께 심리적 변화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인들이 모르는 다양한 감정의 변화나 감정의 이상을 이해해 보면 좋을 거 같다.  " 파킨슨병은 덜 명백한 증상이 바로 운동증상 외의 것들이 많은데, 어떤 것들이 있고, 증상을 완화할 방법이 있나요? "​       Larry​Co-founder and president of the PD Avengers and a member of The Michael J. Fox Foundation’s Patient Councilil    운동증상 외의 증상에 대해서 무시하면 안 된다. 특히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진단 후 알고 있었야 하는 정보 -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5월 15일 내용을 정리했다. 파킨슨병을 처음 접하는 환자들의 당혹감과 그를 극복하기 위해 알고 있었으면 좋은 정보들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단지 몸의 문제만이 아닌 마음 불안과 염려 등등이 포함된다.  "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후 환자들의 초기 반응이나 감정은 어떠한가요? 다양할 거 같아 보이는데 어떤가요? "​            Larry​Co-founder and president of the PD Avengers and a member of The Michael J. Fox Foundation’s Patient Councilil ​​혼자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마치 엄청난 벽돌이..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는 종종 많은 양의 음식을 매우 빨리 섭취(폭식) 하는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 멈출 수 없다고 생각한다. 폭식 후에는 자신을 제어할 수 없던 것에 매우 불쾌해 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기 때문에 과체중이 된다. 폭식하지만 이후 스스로 구토하려고 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경우, 2017년 기준 약 3.5%의 여성과 2%의 남성이 1.6% 아동이 폭식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장애는 체중 증가 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일부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따르면 비만인 사람의 30% 이상에게 이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식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며, 이 장애는 칼로리 과다 섭취의 원인에 해당된다. 이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