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증상 15

우울증(Depression) : 2편 - 증상

우울증의 증상은 수일 또는 수주 간 점진적으로 나타나며 사람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우울해지는 사람은 행동이 느려지고 슬퍼하거나 짜증스럽고 불안해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많은 우울증 환자는 비통함, 기쁨, 즐거움 등의 감정을 정상적으로 느낄 수 없다. 세상이 재미없고 생기 없는 곳처럼 보일 수 있다. 이전에 즐겨 하던 활동에도 흥미나 즐거움을 잃어버린다. 우울한 사람들은 강한 죄책감과 자아 모욕감에 사로잡힐 수 있으며, 집중하지 못할 수 없다. 이들이 절망, 외로움 등의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결정을 못 하거나 내성적이며, 무기력하거나 절망적으로 느끼고, 죽음과 자살에 대해 생각한다. 대부분의 우울증 환자는 잠들기가 어렵고 여러 번 잠에서 깨며, 특히 새벽에 자주 깬다. 우울증..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미국에서 매년 약 400~500건의 소아 횡문근육종 사례들이 발생한다. 이 암은 모든 소아 암 중 3%를 차지한다. 이러한 암의 2/3가 7세 미만의 소아에서 발생한다. 이 암은 정상적으로 근육 세포 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횡문근육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암은 정상적으로 근육 세포 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횡문근육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머리와 목(약 35%) - 학령기 소아에게 가장 일반적 발생 생식기나 요로, 일반적으로 방광과 전립선, 또는 질(약 25%) - 일반적으로 영아와 발걸음을 갓 뗀 아이에서 발생 사지(약 20%) - 청소년들에게 가장 일반적 발생 몸통 또는 기타 부위(약 20%) 횡문근육종은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전이)할 수 있..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신경아세포종은 신체의 여러 부분에 있는 특정 종류의 신경 조직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복부나 가슴에 있는 신경에서 발생하며, 부신(신장 바로 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뇌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소아의 반 이상의 경우 의사가 확인했을 때는 암은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된 상태이다. 신경아세포종은 영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모든 연령의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 전체 신경아세포종의 대략 90%가 5세 보다 어린 소아에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대부분 이 종양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드물게 유전된다. 신경아세포종의 증상 신경아세포종의 증상은 다음과 같이 신경아세포종이 발생하는 부위와 확산 여부 및 확산..

속질모세포종(Ependymomas)

속질모세포종은 소뇌(협응과 균형 조절을 돕는 뇌의 부분)에서 발생하여 급속하게 성장하는 뇌종양이다. 소아의 뇌와 척수 암 중 대략 20%를 차지한다. 이 종양은 3 ~ 4세 또는 8 ~ 10세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아와 유아에서, 청소년기까지 발생할 수 있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신체동작의 조종력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의 다른 부위와 척수까지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협동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다. 때때로 특정 유전성 장애(고린 증후군이나 터코트 증후군 같은)가 있는 사람에서도 발생한..

별아교세포종(Astrocytomas)

별아교세포종은 뇌(또는 척수) 안의 신경 세포 기능을 돕는 별 모양의 세포(별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뇌 및 척수의 종양이다. 이러한 종양이 암성이거나 아닐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은 소아 뇌종양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소아의 뇌종양이다. 이러한 뇌종양은 일반적으로 5세와 9세 사이 소아의 진단에서 나타난다. 별아교세포종의 증상 두개골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두통과 구토, 및 무기력증을 유발한다. 소아는 신체 동작의 조종력을 상실하여 보행 곤란이 있을 수 있다. 시력이 흐려지거나 상실될 수 있으며, 눈이 돌출하거나 무의식적으로 한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인 후 천천히 되돌아온다. 또는, 척수 내 별아교세포종은 허리 통증, 보행 곤란 및 근육 쇠약을 초래할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의 진단 일반적으로 조영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