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뇌파 20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6편

배음 생성 악기(Overtone-emitting Instruments) 앞서 배운 것처럼 거의 모든 자연음은 여러 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무한한 소리 부분음(partials)으로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개별 소리의 조합을 중첩된 음색으로 듣고 관련된 부분음을 을 구분할 수 없다.   인류는 이러한 음의 부분음을 분리하여 독특한 음색을 내는 악기를 만드는 법을 배웠다. 또한 일부 문화권에서는 목소리로 배음을 분리하는 법을 배웠다. 목(배음) 노래와 배음 생성 악기는 역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이러한 배음 생성 악기에 대해서는 명상적이고 신비로운 특성까지 주장되어 왔다. 이러한 악기는 다른 어떤 악기와도 달리 청취자의 주의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  티베트 싱잉볼과 같은 배..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5편

뇌파 동조(brainwave Entrainment) 뇌파 동조는 진동하는 빛, 소리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리듬 감각 자극에 대한 뇌의 전기적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이다.외부(흥분) 펄스는 주어진 신호의 주파수에 맞추기 위해 뇌의 "주파수 추적 반응(FFR, Frequency-Following Response)"을 불러일으킨다. 이 방법은 이완, 트랜스(Trance, 최면상태와 같은), 향상된 집중력, 명상 상태 또는 수면 유도와 같은 많은 뇌파 상태를 유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바이노럴 비트와 모노노럴 비트는 뇌파 동조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 의도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대역폭을 의식적으로 듣는 것이 청취자의 특정 박동 속도에 영향을 미칠 때 동조가 발생한다: 뇌 활동을 늦추려면 느린 속도를 ..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4편

뇌파(Brainwaves)란 무엇인가? 뇌 속 뉴런 간의 소통은 우리의 모든 생각, 감정, 행동의 근원이다. "뇌파"는 뉴런이 서로 소통하는 전기 자극이 동기화되어 발생한다. 뇌파는 의식의 연속적인 스펙트럼이다. 뇌파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활동에 따라 변화하며 대역폭으로 나뉘어 낮은 정신 활동부터 높은 활동까지 각 파동에 특정한 특성을 부여한다.  뇌파 주파수를 정의하는 측정 단위는 헤르츠(Hz)이다. 뇌파는 일반적으로 실생활에서 뇌의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며, 이는 다양한 뇌 활동을 반영한다. 또한, 우리의 뇌는 동시에 수많은 파동의 존재를 보여주지만, 현재 지배적인 패턴(파동)을 통해 뇌의 활동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뇌파는 뇌파계(EEG)로 측정한다. 뇌파는 뇌 표면에서 전기적 활동을 보여준다..

싱잉볼 주파수(frequency)와 음색(tone) - 4편(완결)

8. 서로 다른 주파수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싱잉볼이 특히 치유 악기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는 독특한 주파수 때문이다. 많은 싱잉볼을 연주하는 사람들과 소리 치료사들에 따르면, 우리의 뇌와 신체는 특정한 파동, 즉 진동수에 따라 작동한다. 이러한 파동을 베타, 알파, 세타, 델타, 감마라고 한다. 싱잉볼을 연주할 때 발생하는 진동은 뇌의 알파파의 진동수와 비슷하다. 싱잉볼을 연주해서 이러한 주파수를 만드는 것은 뇌를 훈련시켜 세타파 상태로 전환하면서 뇌가 휴식을 취하고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세타파 상태에 있는 동안, 여러분은 더 큰 휴식, 개방감, 그리고 창조적인 생각을 경험할 것이다. 싱잉볼을 연주함으로써 우리가 만들 수 있는 이러한 다양한 진동수는 우리에게 매우 강력하고 유익한..

내면의 조화 : 티베트 싱잉볼 명상 - 1편

다양한 형태로 티베트 싱잉볼의 치유능력을 소개하는 글들이 많이 있지만, 어떤 글들은 관련 근거를 제시하지 않아 포스팅하기가 망설이지는 글들이 있지만, 이번에 소개할 태국에 위치한 Aleenta(www.aleenta.com)에서 소개한 글은 관련 근거만 제시하지 못하였지 주요한 내용이 다른 자료에서 제시하는 내용과 일치하고 몇 가지 색다른 내용이 있어 티베트 싱잉볼을 더 알아보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알려 드리고자 한다. 반복되는 내용도 있지만, 새로운 내용도 있으니 천천히 읽어보면 좋을 거 같다.  명상은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입증된 이점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스트레스와 불안을 관리하고 전반적인 웰빙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이다. 최근 몇 년..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5편(완결)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연구의 초기 자료를 검토해서 작성한 논문이라 최근의 싱잉볼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임상학적 부분이 빠져있어 아쉬웠지만, 그래도 싱잉볼의 역사에 대한 고증을 알려주고, 치유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는 논문이다. 이제 끝으로, 연구자가 치유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이야기를 제시하고 마무리한다. 뇌파(Brain waves) 또 다른 이론은 싱잉볼에 의해 만들어진 뇌파(brain waves)와 상관관계가 있는 뇌전도(EEG)에 기록된 뇌파 패턴이다. 1960년대에 노벨상 수상자인 생물물리학자 에르빈 네허(Erwin Neher)는 뇌파에 의해 변화된 뇌파와 명상 상태에서 만들어진 뇌 패턴의 상관관계를 실험하고 비교하였다. 베타파는 정상적인 뇌 상태에서 생성되는 반면, 알파파는 명상 및 이완 상..

학술자료/논문 2024.04.19

[최신 의학] 우리나라 연구팀 세계 최초 액체금속 회로 뇌 이식 개발

우리나라 연구진의 놀라운 쾌거가 있어 소개한다. 최근에 뇌 이식 칩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뇌에 이식하는 칩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이제는 뇌의 기능이 떨어진 질병이나 환자들을 위해 필요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은 했지만, 전자 칩과 금속이 뇌에 이식되는 데에 따르는 부작용을 무시할 수 없어 지켜보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액체로 뇌에 이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기쁘다. 아래의 글은 연세대학교 뉴스룸(https://www.yonsei.ac.kr)에 올라온 기사를 정리하였다. 관련된 연합뉴스 동영상도 있어 함께 올려본다. 전기 전자 분야에서 난제로 여겨졌던 다기능성 완전 생분해성 뇌신경 광전자 임플란트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해당 시스템을 활용해 설치류 모델에..

학술자료/의학 2024.03.25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3편 연구 결과 이해(완결)

싱잉볼의 소리는 설치류인 실험용 쥐에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마지막 결론에 저자는 논리적 근거와 실험 결과를 가지고 마무리를 하였다. 그래서 누구에게는 좋은 싱잉볼 소리이자만 누구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히자만, 중요한 것은 그 진동이 인간을 넘어 모든 동물들에게도 유익한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GABAergic(감마아미노 낙산을 생산하는 신경세포) IN는 전체 전전두엽 피질(PFC) 뉴런의 최대 25%를 구성한다. 그중에서도 피드백 및 피드포워드 억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진동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빠른 간(fast-spiking) 파르발부민(PV) IN은 잘 특성화되어 있어 정량적이고 상세한 연구를 위한 연구 모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적절한 뇌의 흥분/억제 균형을 유..

학술자료/논문 2024.03.22

[논문] 싱잉볼 맥놀이파 (beat frequency) 치유의 기전 과학적 입증(완결)

아래의 그림은 싱잉볼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싱잉볼 음정을 결정하는 기본 주파수('B'로 표시)는 482.61 Hz로 나타낸다. 이 주파수는 음계의 B4 음에 해당된다 싱잉볼 소리는 기본 주파수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스펙트럼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스펙트럼 성분들은 각각 G5, C#6, A#6 부근의 음계에 해당하는 773.15 Hz, 1102.56 Hz, 1464.81 Hz, 1870.86 Hz에서 관측되었다. 이러한 스펙트럼 성분들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싱잉볼 소리의 조성 특성이 결정된다. 기본주파수 부근에서 추가적인 주파수 성분이 나타나 이들 간의 6.68 Hz의 미세한 주파수 차이로 맥놀이 현상이 발생했다. 아래의 그림은 임상 뇌파에서 사용되는 0 ~50 Hz의 주파수 범위로 표시된 맥놀이 리..

학술자료/논문 2024.02.01

[논문] 싱잉볼 맥놀이파 (beat frequency) 치유의 기전 과학적 입증(1편)

우리나라에서도 싱잉볼를 한층 더 값지게 발표한 논문을 발견하여 글을 올린다.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표한 논문으로, 1월 25일 ~ 29일까지 소개한 문헌탐구(review)논문을 한 연구실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구체적으로 맥놀이(beat frequency)에 대한 치유 효과의 기전을 확인할 수 있다. 싱잉볼은 소리를 낼 뿐만 아니라 연주된 후 오랫동안 지속된다. 싱잉볼 소리는 긴장, 불안, 우울의 정도를 줄이기 위하 사용되었다. 그리고, 혈압과 심박수를 안정시키는 같과 같은 생리학적, 심리적 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싱잉볼 소리는 명상이나 대체 의학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고 보고되었지만, 정신음향효과의 매커니짐은 여전히 불명확한다. 싱잉볼 소리가 강학 박동을 통해 뇌의 유익한 반응에 중요..

학술자료/논문 2024.01.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