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트레스 28

싱잉볼(사운드힐링볼)이란 무엇인가요? - 1편

싱잉볼 선택은 모든 사람들에게 어려운 숙제(?) 같다. 명확한 가이드와 설명 그리고 무엇을 위한 목적인지 등등 고려하고 생각해야 할 게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 세계 전문가들이 말하는 싱잉볼이란 무엇이고 선택하게 되는 안내를 주는 글을 찾다 다시 가이 바이더(Guy bider)의 블로그를 찾아 그 내용을 알려드리고자 한다. 그가 제시하는 싱잉볼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보고 싱잉볼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싱잉볼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마법적이고 매혹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이 신비로운 기구는 인도, 네팔, 티베트, 부탄에서 의식적이고 영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신비로운 히말라야 지역에서 수 세대에 걸쳐 숭배되어 왔다.  그 기원은 비밀에 싸여 있지만, 싱잉볼은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온 것으로 알려져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환자 가족 돌봄이 - 3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5년 1월 8일 내용을 정리했다. 이번 이야기는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돌봄이(?)에 대한 내용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돌봄 파트너가 되는 것은 증상과 생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고 복잡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이로 인해 돌봄 파트너에게 스트레스와 심지어 소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혼자가 아닌 함께하는 가족과 돌봄 파트너를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다.   ​" 번아웃이란 무엇이며 번아웃의 증상은 무엇인지에 대한 간략한 관점을 제시해 주실 수 있을까요? " ​​​ Erika Adelman​LCSW(임상사회복지사), SIFI, a neurology social work manage..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환자 가족 돌봄이 - 2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5년 1월 8일 내용을 정리했다. 이번 이야기는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돌봄이(?)에 대한 내용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돌봄 파트너가 되는 것은 증상과 생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고 복잡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이로 인해 돌봄 파트너에게 스트레스와 심지어 소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혼자가 아닌 함께하는 가족과 돌봄 파트너를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다.   ​" 파킨슨병 돌봄 파트너 또는 가족 간병인들의 스트레스 주요 원인으로 무엇을 말하나요? 그리고 파킨슨병의 기간에서 그들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를 수도 있나요? " ​​​  Erika Adelman​LCSW(임상사회복지사)..

임상심리학자가 말하는 싱잉볼 이란?(명상을 위한 싱잉볼 사용 방법) - 1편

명상을 수행하는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한다. 특히나 초보자인 사람들에게는 더욱더 그러하다. 그러기에 명상을 수행하는 센터나 요가원에서 싱잉볼과 함께 명상을 수행하는 모습을 많이들 보게 된다. 그만큼 싱잉볼이 명상을 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미국의 명상센터 중에 하나인 Calm(www.calm.com)에서 싱잉볼에 대한 글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글을 소개하는 이유는 임상심리학 박사 크리스 모수닉(Chris Mosunic)이 싱잉볼을 소개하고 있어 임상심리학계에 있는 박사가 싱잉볼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궁금해서 읽어보고 소개한다.   명상에 사용하는 싱잉볼의 이점과 기원을 포함하여 싱잉볼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명상 수행에서 싱잉볼을 사용하는 방법도 알아보도록 한다.  요가 수업이나 직접 명상 세션..

그라운딩(Grounding) 파일럿 연구 결과 -1편

Gounding, 그라운딩(접지)이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는 낯설지만 그 치유 과정을 보면 이 또한 연구되고 탐구되어야 하는 분야라고 생각이 든다. 지구와의 연결을 통한 전하들의 움직임이라는 기본 개념에서 출발한 그라운딩은 우리 인체와 지구가 하나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거 같다. 우리 인체보다 더 큰 힘과 능력을 가지 지구인 자연으로부터의 치유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자연의 소리를 모방한 싱잉볼을 다시 한번 바라보게 된다.  그라운딩(grounding, 접지) 또는 어싱(earthing)은 맨발이나 손으로 또는 다양한 그라운딩 시스템으로 지구 표면에 직접 피부를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맨발로 지구를 걷는 것이 건강을 증진하고 웰빙의 느낌을 준다는 주관적인 보고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의 기록과 실생활에서 ..

학술자료/논문 2024.12.20

우리가 몰랐던 싱잉볼의 모든 것 -1편

싱잉볼에 대한 설명을 하는 블로그, 칼럼, 또는 싱잉볼 판매점의 글 중에서 역사, 제작방법 그리고 사용방법을 주로 많이 다룬다. 그 내용은 공통점도 있지만 특이한 내용을 수록한 글들이 있을 때 세심하게 읽어 본다. 이번에 소개할 내용이 바로 특이한 점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싱잉볼에 대한 기원을 찾다가 인도 문명 이전에 문명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이번 글에서 그 내용을 일부 전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그 근거가 나와 있지 않아 아쉽지만, 앞으로 찾을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품는다.   인체는 60% 정도의 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그렇다면 우리 신체의 물을 능숙하게 다루는 몇 가지 방법이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만들어진 이디오폰(i..

티베트 싱잉볼 어떻게 작동하는가? 과학적 설명 - 3편(완결)

싱잉볼의 물리적 효과는 무엇입니까?  싱잉볼이 어떻게 신체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들을 많은 모순된 증거를 내놓았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결과물들은 싱잉볼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과학적인 입증된 사실보다는 싱잉볼이 소리 치료에 사용하는 것의 유익한 작용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 공학대학(USC)의 오디오 신호 처리 교수인 크리스 키리아카키스(Chris Kyriakakis)는 소리 치료가 "몸의 에너지를 뚫어주거나 방향을 바꾼다"라는 등의 생산되는 진동이 인간의 고유한 진동수와 함께 작동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으로 발표된 논문"은 없다고 말했다.  키리아카키스 교수의 진술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문가들과 실무자들의 긍정적인 증언은 압도적..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 2편(완결)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의 진단 의사는 아래의 검사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이인화, 현실감 상실 또는 둘 다는 재발하기까지 오래 걸리고, 사람들은 해리성 경험이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 진단을 내리기 어려워 의사는 증상에 근거하여 장애를 짐작한다. 그래서, 신체검사와 경우에 따라 기타 검사를 실시하여 기타 정신건강장애, 발작장애, 물질사용장애(알코울, 카페인, 자극제 등등) 등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장애가 없는지 확인한다. 검사에는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뇌파검사(EEG) 및 불법 약물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 및 소변 검사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리 검사와 특수구조 인터뷰 및 질문서가 진단을 도울 수 있다.   ..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 1편

"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의 증상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될 수 있다. 증상의 강도는 경증과 중증을 왔다 갔다 한다. 그러나 장애가 심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서 몇 년이나 수십 년간 같은 강도로 유지되기도 한다. "  일시적으로 자아감을 상실하고(이인화)/또는 현실감이 상실된 느낌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사람들의 약 절반은 한 번쯤 자신이나(이인화) 주변 환경(현실감 상실)에서 분리된 느낌을 경험한다. 이러한 느낌을 경험하는 경우는 대부분 다음과 같다.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경험한 후특정 약물 복용(마리화나, 환각제, 케타민 또는 메틸렌디옥시메스암페타민[엑스터시] 등) 후심하게 피곤한 후수면을 하지 못하거나 감각 자극을 ..

해리 장애(Dissociative Disorders)

많은 사람들이 때때로 기억, 인지, 정체성 및 의식의 공백과 함께 사소한 문제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어디론가 운전을 하고 가다가 길을 기억하지 못함을 깨달을 때가 있다. 기억을 못 하는 이유는 개인적 염려, 라디오 듣기, 또는 동승자의 대화 등에 몰입하고 있었거나, 단순히 몽상에 잠겨 있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보통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와 달리 해리 장애가 있을 경우 몇 분이나 몇 시간 또는 간혹 그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했던 행동을 완전히 잊어버릴 수 있다. 이들은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이 기억을 잃은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신, 즉 자신의 기억, 인지, 정체성, 생각, 감정, 신체 및 행동과 분리(해리) 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 혹은 자신의 주변 세상과 분리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