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inging bowl 103

음악 속 싱잉볼(Singing bowl in Music)- 1편

서양 전통음악과 싱잉볼 소리의 주요 차이점은 배음(harmonics)이다. 서양 전통음악은 배음에 대한 고려를 덜하는 반면, 동양음악은 배음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 예를 들어, 동양 음악악기의 현을 진동시키면 기본적인 음색 외에 다른 배음이 들린다. 서양 전통음악은 옥타브(주파수가 두 배 차이 나는 두 음 사이의 음정)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2~3개의 C장조를 사용하면 고음의 빈도가 저음의 빈도보다 2~3배 더 높아진다. 이 현상은 모든 음표와 반음계, D, E, F, G, A, B와 관련이 있다. 싱잉볼, 공, 종, 심벌즈의 소리와 배음은 서양 악기보다 훨씬 더 넓다. " 서양 전통음악과 달리 공, 싱잉볼 띵샤와 같은 동양 악기는 명확하고 분명한 구분의 인위적..

뇌파(Brainwaves)와 티베트 싱잉볼 - 1편

티베트 싱잉볼에서 생성되는 소리는 에너지 의학(Engergy medicine)과 유사하여 스트레스, 우울증 및 기타 여러 건강 문제에서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대의 뇌파 치료 기술과 마찬가지로 티베트 싱잉볼도 우리 뇌에 들어와 치유와 이완에 도움이 되는 듣기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낸다. 이는 뇌파를 자극하는 고대 기술이다. 현대 과학에 따르면 뇌파는 베타(Beta), 알파(Alpha), 세타(Thetha), 델타(Delta) 파의 네 가지 유형이다. 베타 뇌파(Beta brainwaves)는 진폭은 낮지만 초당 15~40 Hz로 가장 높은 주파수를 보인다. 이러한 파동은 경계심, 주의력, 각성 및 불안 상태를 반영한다. 알파 뇌파(Alpha brainwaves)는 8~12 Hz에서 주파수 속도가 더..

음정(note)과 차크라 : 그 영적 지향 - 3편(완결)

차크라와 음계 관련성 결론적으로 차크라 체계와 현대 서양 음악 음계 사이에는 몇 가지 유사점이 있을 수 있지만, 차크라를 음계의 음표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두 체계는 기원, 목적, 차원, 효과가 다르며 서로 다른 영역과 맥락에 속한다. " 차크라를 음계의 음표라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 " 아래와 같이 비교해 보면 이해가 편할 것이다. 다른 기원: 차크라 체계는 인도의 영적 전통에서 유래한 반면, 현대 서양 음악 음계는 서양 음악 이론의 산물이다.다양한 목적: 차크라 시스템은 신체의 미묘한 에너지 중심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대 서양 음악 음계는 소리를 즐겁고 조화롭게 조직하는 데 사용된다.에너지의 다양한 기법: 차크라는 프라나, 마나스, 부처, 아함카라(활력 에너지, 마음의 에너지,..

음정(note)과 차크라 : 그 영적 지향 - 2편

차크라와 음정의 치유에 대한 알아본 방법론의 진위 여부에 대해 회의적이고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셨을지도 모른다. "아유르베딕 정통" 차크라 사운드 방식은 차크라에 해당하는 싱잉볼을 오름차순으로 배열하는 C, D, E, F, G, A, B이다. 이는 옥타브라고 말하기 어렵다. 소리의 색채(그 성격, 강도, 방향, 그리고 그 이면의 의도)는 단순히 차크라 소리와 차크라 음색, 그리고 차크라 주파수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신적, 감정적, 신체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차크라와 관련된 측면과 영역을 치유하기 위해 단지 음정인 악보적 특성과 방법을 구성하는 것은 싱잉볼을 단순하게 바라보는 견해이다. 훨씬 더 미묘하고 복잡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싱잉볼의 각 부분에 두 개 이상..

음정(note)과 차크라 : 그 영적 지향 - 1편

싱잉볼의 신비를 찾고 연구하는 과정은 다양한 연구자, 프랙티셔너, 사운드 힐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싱잉볼의 세계를 연구하다 보면 우리의 지식이 나약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만큼 그 세계를 이해하기에는 현대 과학의 체계로 해석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중 하나다 음정과 차크라이다. 이 주제의 관련된 글이 지금 한국에서 싱잉볼을 연주하거나 힐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많은 분들에게 어떻게 다가올지 모르지만, 이 가이 바이더(Guy bider) 블로그(www.bellsofbliss.com)의 글을 통해 한번 고민하고 좀 더 티베티 싱잉볼의 특성과 이해를 확장하기 바란다. 차크라 소리(Chakra sound) 소리 치유 커뮤니티에는 많은 "권위자 또는 기관"들이 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음정과 차크라의 관계..

싱잉볼 만드는 과정 - 2편(완결)

싱잉볼 제작 과정을 좀 더 알아보면, 혼합된 여러 금속은 용광로에서 섭씨 2,000도 이상으로 가열하며, 녹는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모든 금속 원소가 제대로 녹는지 확인한다. 녹은 금속을 디스크 모양의 모래 틀에 붓고 굳힌다. 그런 다음 이 금속 디스크를 여러 번 재가열하면서 계속적으로 손 망치질을 통해 곡선을 그린다. 그런 다음 싱잉볼 모양이 나타날 때까지 몇 시간 동안 이 과정을 반복한다. 지속적인 망치질은 금속 원소의 무한한 틈새를 밀봉하고 수작업으로 만든 미적 매력을 더한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에는 한 팀에 두세 명의 강력한 장인이 있. 한 명은 긴 클램프로 금속 디스크를 잡고 다른 명은 망치질을 한다. 티베트에서는 이 과정에서 망치질을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막대기를 들고 있는 남성을 볼 수 있..

싱잉볼 만드는 과정 - 1편

싱잉볼 제작은 장인의 예술적 노고와 반영이며, 그런 정신과 영적 열정이 결합되어 있다.  고대 티베트 싱잉볼은 운석으로 만들어졌으며, 티베트는 대기 중 공기 저항이 적어 많은 양이 착륙했을 뿐만 아니라 잘 보존된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땅이다. 대부분의 고대 싱잉볼은 동티베트 캄더게(Kham Derge) 지역에서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장(Jang)과 호르(Hor)에는 두 곳의 실제 유적지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독특한 무늬가 있는 독특한 싱잉볼이 생산되었다. 또한 이 두 지역에는 본(Bon) 추종자들의 인구가 많고 본(Bon) 수도원이 많이 있다. 그 외에도 티베트고원에는 구리, 아연, 철, 주석, 은, 금과 같은 원자재 매장지가 풍부하여 티베트에서 그릇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수공예 싱잉볼을 만드는..

왜 '싱잉볼' 이라고 부르나?

' 큰 싱잉볼이 내 손에 무겁게 놓여 있다. 나는 펠트로 감싸진 스틱으로 부드럽게 테두리를 두드린다. 윙윙거리는 소리가 나를 감싸고 있다. 깊고 낮은 톤이 점차 물결치는 배음(overtone)으로 변한다. 나는 싱잉볼을 몇 번이고 두드린다. 두드릴수록 내가 앉아 있는 방은 소리로 가득 차 있다. 그 소리는 나를 진정시킨다. 나는 점차 시간과 장소에 대한 인식을 잃게 된다. 나는 소리 속에 살고 있고 소리는 내 안에 살고 있다. '(얀센, 1992) ‘The large metal bowl sits heavily in my hand. I strike the rim gently with a felt tipped beater. A humming, singing sound envelopes me. The deep..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3편

​협화음(cosonance)과 불협화음(dissonance)은 무엇인가? 이제 두 가지 이상의 음(tone)을 들을 때 소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특정 음 조합은 왜 기분 좋게 들리고 어떤 음은 그렇지 않을까요? 협화음과 불협화음은 특정 음계의 인식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관적인 개념이다. 협화음은 유쾌함, 달콤함, 수용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불협화음은 불쾌함, 가혹함, 수용 불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협화음 비율을 찾는 역사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발견은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에게 찾을 수 있다. 피타고라스(Pitagoras)는 두 고정된 지점 끝에서 줄을 띵겼을 때, 그 줄 길이가 2:1(옥타브)의 비율로 나누는 것..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2편

소리란 무엇인가? 움직이는 모든 물리적 물체는 진동을 일으킨다. "소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체, 액체 또는 고체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가청 압력파로 전파되는 진동에 적용된다. 인간의 생리학 및 심리학에서 소리는 청각 기관, 뼈, 피부가 전달하는 이러한 파동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란 무엇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모든 진동에는 고유한 "주파수(frequency)" 또는 "음의 높낮이(pitch)"가 있다. 주파수는 고정된 시간 단위 내에 운동 주기(cycle of motion)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나타낸다. 주기적인 활동이 없는 진동에는 주파수가 없다. 주파수의 측정 단위는 헤르츠(Hz)이다. 1Hz는 초당 한 번의 전체 주기와 같다. 평균적인 성인은 20~20,000Hz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