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343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5편

뇌파 동조(brainwave Entrainment) 뇌파 동조는 진동하는 빛, 소리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리듬 감각 자극에 대한 뇌의 전기적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이다.외부(흥분) 펄스는 주어진 신호의 주파수에 맞추기 위해 뇌의 "주파수 추적 반응(FFR, Frequency-Following Response)"을 불러일으킨다. 이 방법은 이완, 트랜스(Trance, 최면상태와 같은), 향상된 집중력, 명상 상태 또는 수면 유도와 같은 많은 뇌파 상태를 유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바이노럴 비트와 모노노럴 비트는 뇌파 동조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 의도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대역폭을 의식적으로 듣는 것이 청취자의 특정 박동 속도에 영향을 미칠 때 동조가 발생한다: 뇌 활동을 늦추려면 느린 속도를 ..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4편

뇌파(Brainwaves)란 무엇인가? 뇌 속 뉴런 간의 소통은 우리의 모든 생각, 감정, 행동의 근원이다. "뇌파"는 뉴런이 서로 소통하는 전기 자극이 동기화되어 발생한다. 뇌파는 의식의 연속적인 스펙트럼이다. 뇌파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활동에 따라 변화하며 대역폭으로 나뉘어 낮은 정신 활동부터 높은 활동까지 각 파동에 특정한 특성을 부여한다.  뇌파 주파수를 정의하는 측정 단위는 헤르츠(Hz)이다. 뇌파는 일반적으로 실생활에서 뇌의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며, 이는 다양한 뇌 활동을 반영한다. 또한, 우리의 뇌는 동시에 수많은 파동의 존재를 보여주지만, 현재 지배적인 패턴(파동)을 통해 뇌의 활동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뇌파는 뇌파계(EEG)로 측정한다. 뇌파는 뇌 표면에서 전기적 활동을 보여준다..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3편

​협화음(cosonance)과 불협화음(dissonance)은 무엇인가? 이제 두 가지 이상의 음(tone)을 들을 때 소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특정 음 조합은 왜 기분 좋게 들리고 어떤 음은 그렇지 않을까요? 협화음과 불협화음은 특정 음계의 인식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관적인 개념이다. 협화음은 유쾌함, 달콤함, 수용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불협화음은 불쾌함, 가혹함, 수용 불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협화음 비율을 찾는 역사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발견은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에게 찾을 수 있다. 피타고라스(Pitagoras)는 두 고정된 지점 끝에서 줄을 띵겼을 때, 그 줄 길이가 2:1(옥타브)의 비율로 나누는 것..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2편

소리란 무엇인가? 움직이는 모든 물리적 물체는 진동을 일으킨다. "소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체, 액체 또는 고체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가청 압력파로 전파되는 진동에 적용된다. 인간의 생리학 및 심리학에서 소리는 청각 기관, 뼈, 피부가 전달하는 이러한 파동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란 무엇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모든 진동에는 고유한 "주파수(frequency)" 또는 "음의 높낮이(pitch)"가 있다. 주파수는 고정된 시간 단위 내에 운동 주기(cycle of motion)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나타낸다. 주기적인 활동이 없는 진동에는 주파수가 없다. 주파수의 측정 단위는 헤르츠(Hz)이다. 1Hz는 초당 한 번의 전체 주기와 같다. 평균적인 성인은 20~20,000Hz ..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1편

싱잉볼에 대한 과학적 근거 또는 자기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주장하는 블로그는 있지만 그 내용은 일관성이 있는 부분도 있고, 다소 신비주의나 영성적인 부분이라 현대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그래서 해외의 블로그 소개를 다 하고 싶지만 망설이고 내용을 다시 정리해서 그 글들을 소개한다. 이번 글이 바로 다시 정리해하고 글쓴이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고 알려드리고 싶은 싱잉볼에 대한 이야기이다. 가이 바이더(Guy bider) 블로그(www.bellsofbliss.com)의 내용으로 그의 싱잉볼에 대한 연구와 주장을 100% 동의하지 않지만, 나름 잘 정리된 내용이라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티베트 싱잉볼(히말라야볼, 또는 소리치유싱잉볼이라고도 함)의 독특함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싱잉볼의 소리가 이렇..

숨쉬기 조절(Control of Breathing)

숨쉬기는 일반적으로 무의식적이며, 뇌의 하반부에 있는 호흡 중추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제어된다. 숨쉬기는 수면 중에도계속되며, 심지어 사람이 의식이 없는 상태일 때도 대개 계속된다. 또한, 사람은 연설을 할 때나 노래를 할 때, 자발적인 호흡정지 상태 등, 자신이 원할 경우 숨쉬기를 통제할 수도 있다. 뇌와 대동맥에 있는 감각기관과 경동맥은 혈액을 모니터링하고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치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더 깊게 더 자주 숨을 쉬도록 하는 가장강력한 자극제이다. 정반대로,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은 경우, 뇌는 호흡의 빈도와 깊이를 줄이게 된다. 쉬는 동안숨쉬기를 하는 경우, 보통 성인은 분당 약 15번 숨을 들이마시고 내쉰다. 호흡근(Respiratory muscle..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Exchanging Oxygen and Carbon Dioxide)

호흡기 계통의 주요 기능은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들이마신 산소는 폐로 들어가 폐포에 도달한다. 폐포의 내부를 이루는 세포 층과 주위의 모세혈관은 각각 세포 하나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매우 근접하게 접촉하고 있다. 공기와 혈액 간의 이 장벽은 두께가 평균 약 1미크론(1/10,000센티미터의 또는 0.000039인치) 정도 된다. 산소는 이 공기와 혈액 간 장벽을 통해 모세혈관의 혈액 안으로 빠르게 들어간다. 이와 유사하게, 이산화탄소는 혈액에서 폐포로 들어간 다음 배출된다.   산소화 혈액은 폐에서 폐정맥을 거쳐 심장의 왼편으로 이동하는데, 이곳에서 혈액을 인체의 나머지 영역으로 공급해 주게 된다. 산소 결핍 상태로 이산화탄소가 가득 채워진 혈액은 두 개의 대정맥인 상..

흉강(Chest Cavity, Thoracic Cavity)

흉강은 흉추, 갈비뼈, 흉골, 횡격막으로 둘러싸인 부위이다. 폐는 흉강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공간에는 종격(mediastinum)도 포함되어 있다.   종격은 가슴 중앙에 있으며, 대동맥, 대정맥, 기관, 식도 및 다양한 신경 부분과 함께 심장, 흉선, 림프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면에 있는 가슴뼈(흉골), 등에 있는 척추, 위에 있는 흉강으로 들어가는 입구 및 아래에 있는 횡경막과 접해있는 영역을 아우른다. 종격은 왼쪽 및 오른쪽 폐를 분리하여 두 개의 별개의 흉강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흉벽의 한쪽 면에 구멍이 있는 경우, 해당 면의 폐의 기능은 중지되고, 다른 쪽 폐는 부푼 상태로 기능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것은 두 개의 폐가 종격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골, 갈비뼈, ..

폐와 기도 장애(Lung & Aiway disorders)

나이가 든다는 것은 신체의 부위가 그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연세가 많으신 분들 중에 지병으로 고생하시다가 최종 돌아가실 때는 호흡기 계통의 문제로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열, 피로 또는 일반적인 질병 또는 불안감 등의 일반적인 다른 증상이 폐 또는 기도 장애를 보인다. 호흡기 증상은 경미하나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일 수도 있어, 호흡기 계통에 대한 이해와 질병예방을 해야 한다. 우리의 호흡을 담당하는 폐와 기도에 대한 이해를 위해 MSD 매뉴얼(www.msdmanuals.com)의 도움을 받아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나갈 예정이다.  호흡기 계통 개요(Overview of the Respiratory System) 생명 유지를 위해 인체는 충분한 에너지를 생성해야 한..

[BoOk1] 티베트 싱잉볼 기원 - 3편(종결)

티베트인들에 따르면, 일반 대중을 위한 싱잉볼의 인기는 1959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티베트 군사 점령 이후에 생겨났으며, 이로 인해 많은 티베트인들이 네팔, 인도, 부탄을 포함한 인근 국가로 피난을 떠났다.  현대의 싱잉볼의 전파는 도망치는 티베트 난민들과 함께 나왔다. 수도사와 승녀들은 종교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동안 가장 소중한 물건을 등에 업고 다녔다. 그 당시 수많은 수도원, 사리탑, 성지가 불에 타 약탈당했다. 부처님과 보살의 동상과 신들이 파괴되었다. 싱잉볼과 기타 귀중한 소지품을 포함한 의식 용품을 압수한 것이 널리 기록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즉각적인 부가적인 피해를 가져왔다.   " 티베트 지역의 근본적인 사회적 기반이 뿌리째 뽑혔다."  '이 지역의 근본적인 사회적 기반'은 뿌리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