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병 이해/아동건강 12

소아 변비(Constipation in Children) - 2편(완결)

소아 변비의 평가 의사는 먼저 변비의 원인이 식이 문제인지 행동 문제(기능성) 또는 장애, 독성이나 약물(기질성)인지 판단한다. 경고 징후특정 증상은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기질성 변비의 원인에 대한 의구심을 증가시킨다. 출생 후 첫 24~48시간 동안 배변(BM) 활동 없음체중 감소 또는 발육 부진식욕 감퇴혈변열구토복부 팽만복통(이에 대해 의사소통이 가능한 소아)영아의 경우, 근긴장 손실(영아에게 근육긴장 저하 또는 무력감이 나타남) 및 흡입력 감소고연령 소아의 경우, 비자발적인 소변 배출(요실금), 요통, 다리 무력증 또는 보행 문제 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경우자녀에게 어떠한 경고 징후라도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데려가 진단을 받아야 한다. 어떠한 경고 징후도 존재하지 않지만 배변 활동이 드물고, 변이 단..

소아 변비(Constipation in Children) - 1편

변비는 배변의 지연 또는 어려움이다. 변은 평소보다 더 단단하며 크고 배변 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변비는 소아에게서 가장 흔한 질병이다. 병원을 찾는 소아의 최대 5%가 변비 환자이다. 배변(BM)의 횟수 및 굳기는 소아기 동안 다르며, 어떤 것이 정상이라는 정의가 하나도 없다.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변을 하루에 4회 이상 본다. 일 년 동안 영아는 하루에 2~4회 변을 본다. 모유 수유를 받는 영아는 분유를 먹는 영아보다 배변 보는 횟수가 더 많으며 모유를 먹은 후 BM을 본다. 모유 수유를 받는 영아의 대변은 묽고 황색이며 지저분하다. 한두 달 후, 일부 모유 수유를 받은 영아는 BM 횟수가 줄어들지만 계속해서 흐물흐물하거나 묽은 변을 본다. 1년 후, 대부분의 소아는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

영아 및 소아의 증상 – 급통증(Colic)

급통증은 건강한 영아에게서 뚜렷한 이유(예를 들어, 배고픔, 질병 또는 부상) 없이 나타나는 특정 패턴의 과도하고 극심한 울음 및 야단법석을 말한다. 급통증은 일반적으로 생후 1개월 내에 나타나며, 영아가 생후 약 6주일 때 가장 심하고, 흔히 생후 3~4개월 정도에 갑자기 종료된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극심하고 원인 불명의 울음 및 야단법석이 하루에 3시간 이상, 일주일에 3일 이상이 3주 이상 지속되면 급통증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많은 의사들은 갑작스럽고, 원인 불명의 심각한 울음이 하루 3시간 미만으로 거의 일주일 내내 지속되어도 급통증으로 간주한다. 일반적으로 급통증과 관련한 울음 울음소리가 크고, 날카로우며 지속적임원인을 알 수 없음낮이나 밤 동안 거의 같은 시각에 발생함뚜렷한 이유 없이 몇 시..

윌름스 종양 또는 신모세포종(Wilms' Tumor or Nephroblastoma)

윌름스 종양은 주로 어린 소아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유형의 신장암이다. 윌름스 종양은 일반적으로 5세 미만의 소아에게 발생하지만 때때로 더 큰 소아에서 그리고 드물게는 성인에게도 발생한다. 매우 드물게 출산 전에 발생하여 신생아에서 나타난다. 약 5%의 사례에서 윌름스 종양은 양쪽 신장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윌름스 종양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사례에서 특정 유전자 결여 또는 또 다른 유전자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윌름스 종양은 양쪽 홍채가 없거나 신체의 한쪽이 너무 많이 성장하는 등 특정 선천적 결함이 있는 소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신장, 생식기, 요로 문제도 일반적이다. 윌름스 종양의 증상 윌름스 종양의 첫 증상은 종종 복부에 통증이 없는 덩어리로 나타난다. 복부가 비대해져..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미국에서 매년 약 400~500건의 소아 횡문근육종 사례들이 발생한다. 이 암은 모든 소아 암 중 3%를 차지한다. 이러한 암의 2/3가 7세 미만의 소아에서 발생한다. 이 암은 정상적으로 근육 세포 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횡문근육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암은 정상적으로 근육 세포 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횡문근육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머리와 목(약 35%) - 학령기 소아에게 가장 일반적 발생 생식기나 요로, 일반적으로 방광과 전립선, 또는 질(약 25%) - 일반적으로 영아와 발걸음을 갓 뗀 아이에서 발생 사지(약 20%) - 청소년들에게 가장 일반적 발생 몸통 또는 기타 부위(약 20%) 횡문근육종은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전이)할 수 있..

망막아종(Retinoblastoma)

망막아종은 병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눈 뒤에 있는 빛-감지 부위인 망막의 암이다. 망막아종은 소아암의 대략 2%를 차지하며 거의 항상 2세 이전에 발생한다. 대략 25%의 소아에서 양쪽 눈에 동시에 발생한다. 이 암은 눈 발달을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에 발생한다. 때때로 돌연변이는 부모로부터 물려받는다. 어떤 때는 배아 발생 동안 매우 이른 시기에 자연적으로(유전되지 않음) 발생한다. 돌연변이가 유전성일 때는 영향받은 소아가 자신의 자녀에게 돌연변이를 물려줄 수 있다. 부모 중 한쪽이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을 때 돌연변이가 유전될 확률은 50%이다. 돌연변이를 물려주는 경우, 대부분의 자녀들은 망막아종에 걸리게 될 것이다. 망막아종은 양쪽 눈에 암이 발생한 모든 소아들과 한 쪽 눈에 암이 발..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신경아세포종은 신체의 여러 부분에 있는 특정 종류의 신경 조직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복부나 가슴에 있는 신경에서 발생하며, 부신(신장 바로 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뇌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소아의 반 이상의 경우 의사가 확인했을 때는 암은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된 상태이다. 신경아세포종은 영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모든 연령의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 전체 신경아세포종의 대략 90%가 5세 보다 어린 소아에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대부분 이 종양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드물게 유전된다. 신경아세포종의 증상 신경아세포종의 증상은 다음과 같이 신경아세포종이 발생하는 부위와 확산 여부 및 확산..

속질모세포종(Ependymomas)

속질모세포종은 소뇌(협응과 균형 조절을 돕는 뇌의 부분)에서 발생하여 급속하게 성장하는 뇌종양이다. 소아의 뇌와 척수 암 중 대략 20%를 차지한다. 이 종양은 3 ~ 4세 또는 8 ~ 10세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아와 유아에서, 청소년기까지 발생할 수 있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신체동작의 조종력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의 다른 부위와 척수까지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협동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다. 때때로 특정 유전성 장애(고린 증후군이나 터코트 증후군 같은)가 있는 사람에서도 발생한..

뇌실막세포종(Ependymomas)

뇌실막세포종은 뇌 안에 있는 공간(뇌실)의 내부를 싸는 세포에서 발생하여 천천히 발육하는 뇌종양이다.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뇌실막세포종은 소아의 뇌종양 중 10%를 차지하는 세 번째로 흔한 뇌종양이다. 뇌실막세포종으로 진단받은 대다수의 소아는 8세 미만이다. 약 1/3이 3세 미만의 소아에서 발생하고, 대부분의 뇌실막세포종은 뇌의 뒤 쪽 두개골 바닥(후두와)에서 또는 근처에서 발생한다. 이 부위는 소뇌(협응과 균형 조절을 도움)와 뇌간(호흡 같은 중요한 신체 기능을 조절함)을 포함한다. 뇌실막세포종은 뇌간까지 확산되는 경향이 있고, 때로는 뇌실막세포종이 척수에서도 발생한다. 뇌실막세포종의 증상 뇌실막세포종의 첫 증상은 종종 두개골 내 압력 증가에서 기인한다. 여기에는 두통, 구토 및 무기력이 포..

별아교세포종(Astrocytomas)

별아교세포종은 뇌(또는 척수) 안의 신경 세포 기능을 돕는 별 모양의 세포(별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뇌 및 척수의 종양이다. 이러한 종양이 암성이거나 아닐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은 소아 뇌종양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소아의 뇌종양이다. 이러한 뇌종양은 일반적으로 5세와 9세 사이 소아의 진단에서 나타난다. 별아교세포종의 증상 두개골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두통과 구토, 및 무기력증을 유발한다. 소아는 신체 동작의 조종력을 상실하여 보행 곤란이 있을 수 있다. 시력이 흐려지거나 상실될 수 있으며, 눈이 돌출하거나 무의식적으로 한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인 후 천천히 되돌아온다. 또는, 척수 내 별아교세포종은 허리 통증, 보행 곤란 및 근육 쇠약을 초래할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의 진단 일반적으로 조영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