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불교 3

[BoOk1] 티베트 이해(Tibetan brief) - 1편

티베트는 티베트어로 'Böd'이라고 불린다. 티베트는 평균 해발 4,500미터의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티베트는 '하와첸(Khawachen)' 또는 '강종(Gangjong'이라고도 불리며, '눈의 땅'으로 번역된다.  눈 덮인 산과 손대지 않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지닌 무한한 목초지는 자비의 철학과 업보의 법칙이 신화 속 땅의 서사를 위한 이국적인 비밀의 낙원 같은 장소이다.  티베트 사람들은 몽골 혈통이며 아메리카 원주민(레드 인디언, Red Indians)과 매우 유사하다. 짧은 코,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진 뭉툭한 몸과 최대 산소 통로를 위한 정교한 혈관은 산소가 해수면 대기 수준보다 40% 적은 고고도 적응을 위해 자연스럽게 선택되어 티베트인을 분류하는 독특한 방법..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2편

논문을 읽다 보면 읽어도 '무슨 말이지' 그리고 '연결이 잘 안된다 '라는 글들이 있다. 그래서 논문을 읽고 나도 무슨 내용인지 파악이 되지 않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보곤 한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쉽게 그리고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쓴 논문이 아닌가 싶다. 샤먼 전통(Shaman tradition) 무속적 전통에 따라 대장장이들은 싱잉볼을 만들었다. 싱잉볼을 만드는데 사용된 금속 합금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싱잉볼을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승려들이 실제로 싱잉볼을 직접 만들었다는 다른 이론도 있다. 문제는 승려나 금속 대장장이들에 의해 원래의 방식으로 만들어진 싱잉볼을 아무도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싱잉볼은 여전히 생산되지만 주조되고 오래된 금속 합금은 사용되지 ..

학술자료/논문 2024.04.12

전통적 소리 이해 - 티베트인의 소리 인식

모든 종교는 사람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다른 소리도 사용한다. 종, 소라껍질, 트럼펫, 오바에, 심벌즈, 북은 티베트 불교 의식과 힌두 사원에서 신의 힘을 표현하는 방법이자 아나하타 나다(물리적으로 듣는 것이 아리라 영적으로 느끼는 것, 옴)의 메아리 역할을 한다. 인도 철학자들은 우주의 지배력 중 하나로 소리(nada)의 중요성을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물질 세계에서 듣는 소리 (진동하는 물체에서 나는 부딪히는 소리의 산물인 아하타 나다), 천상의 부딪히지 않는 소리(우주를 가득 채우고 신비한 힘으로 충전하는 아나하타 나다)의 메아리이다. 들리지 않는 소리는 위대한 영적 스승들과 민족의 화신들이 말하는 소리이다. ​ 티베트인의 소리 인식 ​ 티베트에는 영적 수행자들이 감각을 차단되는 수행을 한다. 특히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