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통증은 보통 한쪽 귀에서만 나타납니다. 몇몇 사람들은 또한 귀 분비물이 있거나, 드물게 청력 상실이 있다. "

귀통증의 원인
귀통증은 귀 자체 내의 장애가 원인이 될 수도 있거나 귀와 동일한 신경을 뇌와 공유하는 귀 주변 신체 부분의 장애로부터 올 수도 있다. 이러한 신체 부분들은 코, 부비동, 인후, 그리고 턱관절(TMJ, TemporoMandibular Joint)을 포함한다.
급성 통증(2주 이내의 통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중이 감염(중이염, Otitis Media)
· 외이 감염(외이도염, Otitis External)
·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압력손상, Barotrauma)
중이 및 외이 감염은 고통스러운 염증을 유발한다. 중이염은 고막(TM, Tympanic Membrane) 뒤의 압력을 높인다. 이렇게 높아진 압력은 고통을 유발하며 고막을 팽창시킨다. 고막이 팽창되면 가끔은 터져서 적은 양의 고름 및/또는 혈액을 귀에서 내보내기도 한다. 중이염은 드물게 귀 뒤 유양돌기뼈까지 퍼진다(유양돌기염 유발).

당뇨병 환자와 약화된 면역체계(HIV 감염이나 암 화학요법 때문에) 또는 만성신장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악성 또는 괴사 외이도염이라고 일컬어지는 심각한 유형의 외이도염이 발병할 수 있다.

비행 및 수중 잠수 중에 나타나는 압력 변화도 귀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귀 통증은 중이와 코 뒤쪽을 연결하는 관(유스타키오관)이 막히거나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이러한 막힘과 기능 장애는 가운데귀의 압력을 외부 압력과 균등하게 하는 것을 방해한다. 압력의 차이는 고막을 밀거나 당겨 통증을 유발한다. 압력의 변화는 또한 고막 파열을 가져올 수도 있다.

급성 통증(2주에서 3주 이상의 통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턱관절 장애
- 유스타키오관 기능 장애
- 만성 외이도염

만성 통증의 덜 일반적인 원인은 암을 포함한 후두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로 인한 통증입니다(연관 통증이라 함).
귀통증의 의사 평가
다음의 정보는 귀통증이 있는 사람들이 언제 의사의 평가가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평가 중에 무엇을 기대할 것인지 아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경고 징후
귀통증 증상과 특징들의 우려할 만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당뇨병, 약화된 면역체계, 또는 만성 신장 질환
- 귀 뒤쪽의 붉어짐 및 부기
- 이도 입구의 심한 부기
- 귀에서 흘러나오는 체액
- 특히 다른 머리/목의 증상들(목쉼, 삼키기 어려움, 비폐색과 같은)을 가진 사람에서의 만성 통증

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경우
경고 징후들이나 귀 분비물이 나타나는 사람은 증후가 만성 통증이기만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빨리 의사를 보러 가야 한다. 증상 후 일주일 정도의 지연은 대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급성 통증을 겪는 사람의 경우 며칠 이내에(만약 통증이 심하면 더 빨리) 의사를 보러 가야 한다.

의사가 하는 일
의사들은 먼저 환자의 증상 및 병력에 대해 질문을 한다. 그 후 귀, 코, 그리고 인후에 초점을 맞춘 신체검사를 진행한다. 과거 병력 문진 및 신체검사를 실시하면서 귀통증의 원인을 짐작할 수 있고, 나아가 실시해야 할 검사를 알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청력을 평가하기 위해 소리굽쇠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경고 징후의 출현과 더불어 귀 검사가 정상적인지의 여부도 중요하다. 중이 및 외이 장애는 이상을 유발하고 이는 환자의 증상 및 다른 병력과 결합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원인을 말한다.

귀 검사가 정상인 사람은 편도염과 같은 귀 통증의 또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의 귀 검사에서 이상을 찾을 수 없으면 의사는 때로는 귀 통증이 측두하악관절(TMJ) 장애 때문일 수 있는지 의심한다. 그러나,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은 비강과인후상부(비인두)의 암이나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철저한 머리 및 목 검사(광섬유 검사 포함)를 받을 필요가 있다.
귀통증의 치료
귀통증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근본적인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통증 완화 약물을 복용할 수 있다. 대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또는 아세트아미노펜이면 충분하다. 그렇지만 몇몇 사람들, 특히 심각한 외이염을 앓는 사람들은 옥시코돈이나 하이드로코돈과 같은 아편유사제를 며칠간 복용해야 할 수도 있다. 심각한 외이염의 경우, 의사는 이도에서 고름이나 다른 분비물을 빨아내고 작은 발포 심지를 넣는다. 심지는 항생제 및/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점이제로 적신다.

진통제를 함유하는 점이제(안티피린/ 벤조카인 조합과 같은)는 일반적으로 매우 효과적이지 않지만 며칠 정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이제(귀지를 제거하는 용도와 같은 다른 점이제 포함)는 고막 천공을 앓는 사람에게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그러므로 점이제 사용 시에는 의사의 상담이 필요하다.
'질병 이해 > 이비인후과 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 분비물(Ear Discharge) (0) | 2025.02.19 |
---|---|
귀, 코 및 인후 노화의 영향(Effects of Aging on the Ears, Nose, and Throat) (0) | 2025.02.14 |
이명(Tinnitus) (0) | 2024.03.06 |
이비인후과 장애(Ear, Nose, and Throat Disorders) 3편 : 인후(Throat) 생물학적 특성(완결) (0) | 2024.03.01 |
이비인후과 장애(Ear, Nose, and Throat Disorders) 2편 : 비부 비동(Nose and Sinuses) 생물학적 특성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