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 2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 2편(완결)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의 진단 의사는 아래의 검사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이인화, 현실감 상실 또는 둘 다는 재발하기까지 오래 걸리고, 사람들은 해리성 경험이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 진단을 내리기 어려워 의사는 증상에 근거하여 장애를 짐작한다. 그래서, 신체검사와 경우에 따라 기타 검사를 실시하여 기타 정신건강장애, 발작장애, 물질사용장애(알코울, 카페인, 자극제 등등) 등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장애가 없는지 확인한다. 검사에는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뇌파검사(EEG) 및 불법 약물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 및 소변 검사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리 검사와 특수구조 인터뷰 및 질문서가 진단을 도울 수 있다.   ..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 - 1편

"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Disorder)"의 증상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될 수 있다. 증상의 강도는 경증과 중증을 왔다 갔다 한다. 그러나 장애가 심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서 몇 년이나 수십 년간 같은 강도로 유지되기도 한다. "  일시적으로 자아감을 상실하고(이인화)/또는 현실감이 상실된 느낌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사람들의 약 절반은 한 번쯤 자신이나(이인화) 주변 환경(현실감 상실)에서 분리된 느낌을 경험한다. 이러한 느낌을 경험하는 경우는 대부분 다음과 같다.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경험한 후특정 약물 복용(마리화나, 환각제, 케타민 또는 메틸렌디옥시메스암페타민[엑스터시] 등) 후심하게 피곤한 후수면을 하지 못하거나 감각 자극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