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도 2

[BoOk1] 티베트 싱잉볼 기원 - 3편(종결)

티베트인들에 따르면, 일반 대중을 위한 싱잉볼의 인기는 1959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티베트 군사 점령 이후에 생겨났으며, 이로 인해 많은 티베트인들이 네팔, 인도, 부탄을 포함한 인근 국가로 피난을 떠났다.  현대의 싱잉볼의 전파는 도망치는 티베트 난민들과 함께 나왔다. 수도사와 승녀들은 종교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동안 가장 소중한 물건을 등에 업고 다녔다. 그 당시 수많은 수도원, 사리탑, 성지가 불에 타 약탈당했다. 부처님과 보살의 동상과 신들이 파괴되었다. 싱잉볼과 기타 귀중한 소지품을 포함한 의식 용품을 압수한 것이 널리 기록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즉각적인 부가적인 피해를 가져왔다.   " 티베트 지역의 근본적인 사회적 기반이 뿌리째 뽑혔다."  '이 지역의 근본적인 사회적 기반'은 뿌리째..

'싱잉볼'이라 부르는 볼(Bowl)

일반적 '싱잉볼'이라고 불리는 용품은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발견되고 있다. 싱잉볼 문화는 스탄(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버마까지 확장된다. 주요 국가인 네팔, 티벳, 부탄, 몽골, 중국, 인도 등이고, 더 넓게 보면 태국, 캄보디아, 일본, 한국도 포함되지만 그 용도는 달랐을 것이다. 예를 들면, 스리랑카에서 금이 포함된 청동으로 만든 용품(평평해 보이는 접시, 냄비 등)을 연주해 보면 음악은 커녕 음질이 너무 떨어져 주의를 끌지 못 하고, 동일한 금속합금인 인도의 hahn(칸) 또는 kansa(칸사) 역시 항균성 특징 때문에 가정용품 그릇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싱잉볼을 구걸용 그릇으로 수행자의 소유물로 언급되지만 항상 철이나 강철로 만들었다. 제단을 장식하는 제기는 듣기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