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SC 4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2편 연구 결과 이해

싱잉볼과 치유의 연결점을 한층 더 발견할 수 있었던 논문의 결과에 대해 두 번째 편을 게시한다. 실험용 쥐를 이용한 연구이지만도 그 성과는 뜻깊다고 생각된다. 중추신경계(centrol nervous system)와 관련된 내용으로 마무리하겠다. 이 연구를 진행한 교수님은 지속적으로 싱잉볼 논문을 발표하고 계시다. 이런 교수님이 앞으로 연구를 더 많이 해 주기를 바라며, 인연이 된다면 만나 뵙고 싶다. 중추신경계의 주요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각각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GABA이다. 글루타메이트 유출은 시냅스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신경세포 사멸 및 시냅스 장애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특히 영향을 받는 뇌 영역인 체성감각피질(SSC) 및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에서 다양..

학술자료/논문 2024.03.20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1편 연구 결과 이해

'싱잉볼연구소 율담'은 티베트 싱잉볼을 통한 치유를 이론적 측면도 중요하다고 여기며 지금까지 연구 중이고 앞으로도 더 많은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것이다. 그러면서 찾아오시는 분들과 함께 치유 세션을 하면서 이론과 실제 세션을 통해 임상적 증명을 해 오고 있다. 이런 중에 많은 부분들이 수수께끼를 풀아 나가듯 풀어져 나가고 있고, 이런 논문을 만나면서 싱잉볼에 대한 믿음이 한층 더 두꺼워진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서 실험용 쥐에 대한 실험연구이지만 그 답은 매우 유사하고 뇌의 신경전달 물질과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대해 글을 읽는 분들을 위해 3편으로 나눠 더 상세하게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불안은 많은 인구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신 질환이다. 면역..

학술자료/논문 2024.03.18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편 - 뇌의 감정반응 담당 내측전전두엽피질(mPFC)

싱잉볼과 불안장애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용 쥐 대상 연구 논문의 3편은 뇌의 감정반응을 담당하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에 대한 내용이다.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기억과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관여하고, 특정 상황이나 시간, 장소에 대한 가장 적합한 행동 또는 감정반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포와 불안감 조절을 관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결과 싱잉볼 진동 치료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의 흥분/억제 관련 단백질 수준을 정상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불안 유사 행동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뇌 영역의 다양한 흥분성 및 억제성 단백질의 수준을 분석했다. RS(억제스트레스)(F = 13.922, P < 0.001, P ..

학술자료/논문 2024.03.15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2편 - 뇌의 체성감각피질 반응

설치류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싱잉볼 치유 연구의 2편을 소개한다. 이번 글에는 뇌에서 작용하는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는 체성감각피질(SSC)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단순하게 싱잉볼의 진동과 주파수가 치유를 일으킨다는 설명이 아닌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그 연구결과가 주목받는다. 아래의 연구결과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은 내용을 한번 읽어 보기를 바란다. " 전전두엽피질(PFC)은 불안의 병태 생리에 관여하는 뇌의 중요한 부분이고, 해마(Hippocampus), 편도체, 시상하부 및 체성감각피질(SSC)을 포함한 불안 및 스트레스 반응을 직접 제어하는 뇌 영역에 연결된다. 인간 연구의 결과는 체성감각피질(SSC)과 공포와 불안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뇌 영역 사이의..

학술자료/논문 2024.03.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