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issonance 2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7편(완결)

6편에서 분석한 싱잉볼은 정말 듣기 좋다. 사운드 부분이 조화롭게 들리고 각 눈에 띄는 음색의 맥동 속도가 꽤 느리다.그러나 모든 티베트 싱잉볼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두 싱잉볼의 다음 사진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첫 번째 싱잉볼은 기본 음은 2, 3, 4, 6, 9, 12, 14화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싱잉볼의 음색은 기본 화음, 2화음, 3화음, 6화음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싱잉볼의 기본 음색은 서로 9.8Hz(246.2Hz 및 236.4Hz) 떨어져 있는 두 주파수(246.2Hz 및 236.4Hz)로 정의된다. 이렇게 빠른 맥동은 그다지 편안하게 들리지 않는다. 대신 듣는 사람의 집중을 끌며 짧은 시간 후에 이 싱잉볼을 들으면 긴장감이 생길 수 있다. 첫 번째 배음에 주목해 보면,..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3편

​협화음(cosonance)과 불협화음(dissonance)은 무엇인가? 이제 두 가지 이상의 음(tone)을 들을 때 소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특정 음 조합은 왜 기분 좋게 들리고 어떤 음은 그렇지 않을까요? 협화음과 불협화음은 특정 음계의 인식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관적인 개념이다. 협화음은 유쾌함, 달콤함, 수용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불협화음은 불쾌함, 가혹함, 수용 불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협화음 비율을 찾는 역사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발견은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에게 찾을 수 있다. 피타고라스(Pitagoras)는 두 고정된 지점 끝에서 줄을 띵겼을 때, 그 줄 길이가 2:1(옥타브)의 비율로 나누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