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armonics 3

음악 속 싱잉볼(Singing bowl in Music)- 1편

서양 전통음악과 싱잉볼 소리의 주요 차이점은 배음(harmonics)이다. 서양 전통음악은 배음에 대한 고려를 덜하는 반면, 동양음악은 배음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 예를 들어, 동양 음악악기의 현을 진동시키면 기본적인 음색 외에 다른 배음이 들린다. 서양 전통음악은 옥타브(주파수가 두 배 차이 나는 두 음 사이의 음정)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2~3개의 C장조를 사용하면 고음의 빈도가 저음의 빈도보다 2~3배 더 높아진다. 이 현상은 모든 음표와 반음계, D, E, F, G, A, B와 관련이 있다. 싱잉볼, 공, 종, 심벌즈의 소리와 배음은 서양 악기보다 훨씬 더 넓다. " 서양 전통음악과 달리 공, 싱잉볼 띵샤와 같은 동양 악기는 명확하고 분명한 구분의 인위적..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3편

학창시설 음악 시간에 배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와 장조, 단조 등의 화성학은 지금도 어려운 학문(?)이라고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는 5음계인 "궁, 상, 각, 치, 우"라는 음계 체계이다. 이 음악 체계에 대한 이야기를 싱잉볼을 설명하면서 이번 글은 다루고 있어 내용을 확인해 보기 바란다. 동서양 음악 체계 (From east to west) 티베트 사람들이 싱잉볼을 사용했던 방식에 상관없이 한 가지는 확실하다. 서양 사람들은 분명히 싱잉볼에 의해 특별한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 무엇이 서양의 음악적 전통과 싱잉볼 소리와의 차별화를 만드는가? " 차이점은 바로 배음(harmonics)에 있다. 동양과 비교하여 서양 음악 전통은 배음에는 관심이 없다. 예..

학술자료/논문 2024.04.15

공(Gong)

공(Gong)과 싱잉볼은 중국, 네팔, 그리고 동남아시아 전역의 작은 공장과 가내수공업장에서 수 세기 동안의 오래된 공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오랫동안 수작업으로 만들어졌다. 19세기 후반 이후 서양 예술 음악에 공(Gong)이 자주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고대 기원에 대한 연구하는 거의 없다. 1970년대 제임스 블레이즈(James Blades)가 동양의 타악기와 역사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공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를 제시했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아쉽게도 다양한 서양 타악기가 기술적으로 분석되고 완벽한 수준까지 연구되었지만, 같은 타악기인 공과 싱잉볼은 아직도 수 세기 동안 그대로 남아 있다. 대부분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보이는 공(Gong, 또는 탐-탐, tam-tam)은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