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배음 15

음악 속 싱잉볼(Singing bowl in Music)- 1편

서양 전통음악과 싱잉볼 소리의 주요 차이점은 배음(harmonics)이다. 서양 전통음악은 배음에 대한 고려를 덜하는 반면, 동양음악은 배음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 예를 들어, 동양 음악악기의 현을 진동시키면 기본적인 음색 외에 다른 배음이 들린다. 서양 전통음악은 옥타브(주파수가 두 배 차이 나는 두 음 사이의 음정)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2~3개의 C장조를 사용하면 고음의 빈도가 저음의 빈도보다 2~3배 더 높아진다. 이 현상은 모든 음표와 반음계, D, E, F, G, A, B와 관련이 있다. 싱잉볼, 공, 종, 심벌즈의 소리와 배음은 서양 악기보다 훨씬 더 넓다. " 서양 전통음악과 달리 공, 싱잉볼 띵샤와 같은 동양 악기는 명확하고 분명한 구분의 인위적..

음정(note)과 차크라 : 그 영적 지향 - 2편

차크라와 음정의 치유에 대한 알아본 방법론의 진위 여부에 대해 회의적이고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셨을지도 모른다. "아유르베딕 정통" 차크라 사운드 방식은 차크라에 해당하는 싱잉볼을 오름차순으로 배열하는 C, D, E, F, G, A, B이다. 이는 옥타브라고 말하기 어렵다. 소리의 색채(그 성격, 강도, 방향, 그리고 그 이면의 의도)는 단순히 차크라 소리와 차크라 음색, 그리고 차크라 주파수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신적, 감정적, 신체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차크라와 관련된 측면과 영역을 치유하기 위해 단지 음정인 악보적 특성과 방법을 구성하는 것은 싱잉볼을 단순하게 바라보는 견해이다. 훨씬 더 미묘하고 복잡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싱잉볼의 각 부분에 두 개 이상..

왜 '싱잉볼' 이라고 부르나?

' 큰 싱잉볼이 내 손에 무겁게 놓여 있다. 나는 펠트로 감싸진 스틱으로 부드럽게 테두리를 두드린다. 윙윙거리는 소리가 나를 감싸고 있다. 깊고 낮은 톤이 점차 물결치는 배음(overtone)으로 변한다. 나는 싱잉볼을 몇 번이고 두드린다. 두드릴수록 내가 앉아 있는 방은 소리로 가득 차 있다. 그 소리는 나를 진정시킨다. 나는 점차 시간과 장소에 대한 인식을 잃게 된다. 나는 소리 속에 살고 있고 소리는 내 안에 살고 있다. '(얀센, 1992) ‘The large metal bowl sits heavily in my hand. I strike the rim gently with a felt tipped beater. A humming, singing sound envelopes me. The deep..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7편(완결)

6편에서 분석한 싱잉볼은 정말 듣기 좋다. 사운드 부분이 조화롭게 들리고 각 눈에 띄는 음색의 맥동 속도가 꽤 느리다.그러나 모든 티베트 싱잉볼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두 싱잉볼의 다음 사진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첫 번째 싱잉볼은 기본 음은 2, 3, 4, 6, 9, 12, 14화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싱잉볼의 음색은 기본 화음, 2화음, 3화음, 6화음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싱잉볼의 기본 음색은 서로 9.8Hz(246.2Hz 및 236.4Hz) 떨어져 있는 두 주파수(246.2Hz 및 236.4Hz)로 정의된다. 이렇게 빠른 맥동은 그다지 편안하게 들리지 않는다. 대신 듣는 사람의 집중을 끌며 짧은 시간 후에 이 싱잉볼을 들으면 긴장감이 생길 수 있다. 첫 번째 배음에 주목해 보면,..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6편

배음 생성 악기(Overtone-emitting Instruments) 앞서 배운 것처럼 거의 모든 자연음은 여러 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무한한 소리 부분음(partials)으로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개별 소리의 조합을 중첩된 음색으로 듣고 관련된 부분음을 을 구분할 수 없다.   인류는 이러한 음의 부분음을 분리하여 독특한 음색을 내는 악기를 만드는 법을 배웠다. 또한 일부 문화권에서는 목소리로 배음을 분리하는 법을 배웠다. 목(배음) 노래와 배음 생성 악기는 역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이러한 배음 생성 악기에 대해서는 명상적이고 신비로운 특성까지 주장되어 왔다. 이러한 악기는 다른 어떤 악기와도 달리 청취자의 주의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  티베트 싱잉볼과 같은 배..

싱잉볼, 그 비밀은 무엇인가 - 2편

소리란 무엇인가? 움직이는 모든 물리적 물체는 진동을 일으킨다. "소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체, 액체 또는 고체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가청 압력파로 전파되는 진동에 적용된다. 인간의 생리학 및 심리학에서 소리는 청각 기관, 뼈, 피부가 전달하는 이러한 파동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란 무엇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모든 진동에는 고유한 "주파수(frequency)" 또는 "음의 높낮이(pitch)"가 있다. 주파수는 고정된 시간 단위 내에 운동 주기(cycle of motion)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나타낸다. 주기적인 활동이 없는 진동에는 주파수가 없다. 주파수의 측정 단위는 헤르츠(Hz)이다. 1Hz는 초당 한 번의 전체 주기와 같다. 평균적인 성인은 20~20,000Hz ..

싱잉볼 연주법 - 2편(완결)

싱일볼 연주법에 대한 설명을 가이 바이더(Guy Beider)의 블로그를 통해 가볍게 이해하게 되면서 재미난 방법으로 싱잉볼을 연주하는 방법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골프 용어로 "스윗 스팟(sweet spot)" 은 공을 잘 치게 하는 위치를 말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싱잉볼의 스윗 스팟을 찾는 방법과 연주에 대한 그의 생각을 한번 들어보고자 한다. 싱잉볼의 스윗 스팟(sweet spot) "스윗 스팟(sweet spot)"은 싱잉볼이 가장 선명하고 안정적이며 부드럽게 소리가 나는 영역이다. 스윗 스팟에 타격되면 뒤틀림이 적고 균형 잡힌 배음이 생성된다. 스윗 스팟을 찾을 때까지 싱잉볼을 돌리면 시험해 보아야 한다.  싱잉볼을 치는 방식을 변경하면 음색이 바뀔 수 있다. 부드러운 스트로킹(stroking..

가이 바이더(Guy bider)의 싱잉볼 만남 이야기 - 1편

연속해서 미국에서 싱잉볼 프랙티셔너로 수행하고 있는 가이 바이더(Guy bider)의 티베트 싱잉볼과의 만난과 지금까지의 수행을 이어오고 있는 동기와 생각을 이번 글에서 알려드리려고 한다. 싱잉볼을 만나는 계기와 상황은 다르지만 그 끝은 마음의 평화 같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분들도 그 길이 비슷할 것이다. 그의 이야기를 통해 나도 한번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티베트 싱잉볼(‘히말라야 싱잉볼‘이라고도 함)은 1950년대 후반부터 서양인들에게 알려져 왔다. 중국 공산주의 점령에서 벗어난 티베트 난민들과 함께 미국과 유럽으로 건너왔다. 현재 거의 모든 요가 스튜디오와 명상 센터에서 싱잉볼을 판매하고 있으며, 모든 티베트 관련 상점에서 싱잉볼을 판매하고 있..

사운드볼 명상 = 싱잉볼 명상

티베트 싱잉볼하면 그 수행도 전통적이 방법으로 수행하는 걸로 모두 인식하고 있다. 약간의 변형과 새로운 방식은 있어도 그 내용은 전통적인 소리에 대한 철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기에 싱잉볼을 본인의 직관을 사용하여 직접 적용하는 수행자에 대한 글이 별로 없다. 이번에 소개할 미국의 가이 바이더(Guy bider)는 자기의 직관을 이용한 싱잉볼 수행을 하는 수행자이다. 싱잉볼에 매료되어 "Bells of Bliss (www.bellsofbliss.com)"를 설립하여 싱잉볼관련 수행과 소리 명상을 연구하며 수행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싱잉볼에 대한 이야기 첫 번째로 명상 이야기를 한번 들어 보도록 하면 좋을 거 같다. 티베트 싱잉볼 명상은 어떻게 하나요? “ 제가 아래 자세히 설명하는 싱잉볼 명상 기..

싱잉볼 주파수(frequency)와 음색(tone) - 2편

3. 싱잉볼의 공명(resonance)과 화음(harmony)이란 무엇입니까?  싱잉볼의 테두리를 스트로킹하면서 계속되는 마찰에 의해 계속해서 나는 소리를 우리는 '공명(resonance)'이라고 한다. 공명은 연주자가 싱잉볼과 스틱의 접촉을 멈춘 후에도 전달되는 소리이다. 그것은 싱잉볼의 테두리 주위를 스틱으로 여러 번 스트로킹 하면서 생긴 소리이다. 싱잉볼의 공명은 진동수, 진폭, 시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 사이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하다. 공명은 거의 모든 싱잉볼에서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잠바티 싱잉볼처럼 더 큰 싱잉볼이 가장 쉽게 공명한다.  그러나 모든 싱잉볼이 다른 배음, 즉 합성음(chords)을 낼 수는 없다. 싱잉볼은 한번 치면 합성음(화음)을 만들어낸다. 배음은 함께 연주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