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치유 52

'싱잉볼'이라 부르는 볼(Bowl)

일반적 '싱잉볼'이라고 불리는 용품은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발견되고 있다. 싱잉볼 문화는 스탄(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버마까지 확장된다. 주요 국가인 네팔, 티벳, 부탄, 몽골, 중국, 인도 등이고, 더 넓게 보면 태국, 캄보디아, 일본, 한국도 포함되지만 그 용도는 달랐을 것이다. 예를 들면, 스리랑카에서 금이 포함된 청동으로 만든 용품(평평해 보이는 접시, 냄비 등)을 연주해 보면 음악은 커녕 음질이 너무 떨어져 주의를 끌지 못 하고, 동일한 금속합금인 인도의 hahn(칸) 또는 kansa(칸사) 역시 항균성 특징 때문에 가정용품 그릇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싱잉볼을 구걸용 그릇으로 수행자의 소유물로 언급되지만 항상 철이나 강철로 만들었다. 제단을 장식하는 제기는 듣기 ..

싱잉볼 역사

티베트에서 싱잉볼에 대한 지식 자체가 사실상 사라졌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의식과 의례적인 마법의 사용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야기만 있고 행방을 찾을 수 없고, 이를 아는 사원의 승려들이 여러 명이 아닌 개인에 의해 비밀스러운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특별한 제자에게 전수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중국이 점령 이후 이 지역 사원들이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건 티베트 싱잉볼은 오락을 위한 음악 도구로 연주되지는 결코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다. 티베트 싱잉볼은 신성한 소리(인도의 '나다 '요가)의 길을 따라 영적인 수행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었고, 치유, 엑소시즘, 명상, 무아지경의 상태, 탄트라의 특정한 수행, 그리고 다른 무속 활동을 포함한 다른 영적인 수행들과 함께 의도되었다. 이러한 이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