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ibetan 13

티베트 싱잉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주는가? - 2편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저자의 태도는 확신을 하면서도 과학적 근거의 부족함을 역설하는 내용인거 같아 보인다. 과학으로 모든 걸 설명하고 싶은 저자의 마음은 이해가 가나, 현대 과학이 절대적인지 않으니 시간을 가지고 그 해답을 찾아 나가면 좋을 거 같다. 싱잉볼 치유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찾다 보면 어느 순간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싱잉볼은 효과가 있는 걸까? 티베트 싱잉볼 치유의 시간 동안, 여러분은 치유의 목적을 가지고 종종 사용되지만, 그것들이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연구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지자들은 그러한 이점이 있다고 제안할 수 있지만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부 주장은 명확한 과학적 근거가 없다.  티베트 ..

일본 ‘오린(おりん)’과 티베트 '싱잉볼' - 2편(완결)

'오린'이라는 단어로 일본에서 불리고 있는 싱잉볼의 일종에 대한 연구를 보면서 한편으로는 티베트 싱잉볼이 역사 속에서 함께 전파된 게 아닌가 하는 조심스러운 생각을 한다. 인류 문물의 발생과 소멸 속에서 그 흐름 속에 존재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역사 속 전파이든 아니든 간에, 그 소리와 진동을 통해 많음 사람이 안녕과 치유를 받았으면 한다. 이제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소개한다.  연구 결과 1. 오린과 싱잉볼 치기 아래의 그림은 오린(O-2)을 스틱으로 두드렸을 때의 주파수 분석 결과인데, 오린스틱의 천 부분으로 때렸을 때와 나무 부분을 때렸을 때의 비교이다.  그림과 같이 나무 부분으로 두드리면 고차모드 성분(3-0)에서 (6-0)이 나타나는데 아래의 표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모두 감쇠가 크므로 ..

학술자료/논문 2024.05.03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글과 기사 찾기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이야기는 구전적으로 아니면 비의의 전통에 따라 전해내려 오고 있어 그 실체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 그래도, 유럽이나 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기록을 한 사람들이 있어 많이는 아니지만 그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술적인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어 그 신비의 존재를 더 알아 갈 수 있을 거 같다.  그래서, 책과 학술적 자료만이 아닌 싱잉볼에 대한 여러 나라의 관심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려고 한다. 아래 사진의 대가들은 우리가 그분들의 책을 통해 잘 알고 있지만, 전 세계 곳곳에서 싱잉볼을 연주하며 또는 치유를 수행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이 카테고리에서 들려주고자 한다.     다양한 분들의 이야기로 구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