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에 따르면 셰랍 미워체는 악마에게 도난당한 말을 찾던 중 우연히 테르마(Terma)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는 본(Bön),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신앙에서 가장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는 신성한 카일라쉬 산 (Mt Kailash)근처에서 부처님과 같은 왕실 가정에서 태어났다. 셰랍 미워체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각성과 금욕적 생활을 시작했지만, 그의 핵심 가르침인 아홉 개의 굴레는 여전히 실현의 길로 남아 있다. 그리고 수련자들은 여전히 수많은 정교한 의례, 의식 그리고 많은 만트라적 요소를 사용해 오고 있다.
본포(Bönpo)들은 카일라쉬 산을 아홉 겹의 스와스티카(Swastika, 불교 문양 상징 卍)라고 부른다.
실제로 이 산은 본(Bön)의 스승 나로(Naro)와 불교의 탄트릭 스승 밀라레파(Milarepa)가 서사시적인 마법 대결을 벌인 신성한 산이다

불교 의식, 의식의 대상 그리고 상징의 상당수가 본(Bön)에서 유래되었다. 예를 들어, 티베트의 기도 깃발 또는 '바람 말', ‘신성한 하늘 정원’(본(Bön) 전통에서 엄청난 중요성을 지닌 스와스티카와 같은 상징), 자연, 영혼, 형이상학적 에너지 및 의식을 숭배하는 것 등이 본(Bön) 종교의 일부이다. 따라서 현대의 싱잉볼은 제물과 의식을 위해 사용했던 의식 대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부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이러한 의식을 위한 싱잉볼은 약 4,000년 전 티베트고원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프랭크 패리(Frank Perry)의 저서에 따르면, 개혁가이자 겔룩파 노란 모자 종파의 창시자인 제통카파(Je Tsong Khapa, 1357-1419)는 그의 시대에 샤머니즘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중단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샤먼을 위한 싱잉볼은 지하로 들어간 후 가정용 그릇으로 변경돼 음식과 음료를 담는 그릇으로 변했다. 또한 많은 불량 싱잉볼은 일반적인 음식 그릇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정으로 옮겨졌다.

위대한 제5대 달라이 라마가 드레풍 수도원의 쿵가 라와( Kunga Rawa) 궁전에서 싱잉볼을 소유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싱잉볼은 티베트의 대축제인 쇼톤 축제(Shoton festival) 기간에만 대중에게 공개된 고대 유물 싱잉볼이다. 쇼톤 축제는 보통 음력 5월 15일부터 24일 사이에 수도원들이 정교한 의식에 참여하는 대종교 축제다. 16세기 이전에는 승려들이 이 기간 동안 한 달간의 긴 수행 길을 떠났지만 여름 성수기에 의도치 않게 많은 곤충이 번식하고 번성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실내에 머물렀다. 한편 평신도들은 종교 공동체에 제물과 잔치를 쏟아부었다. 춤과 오페라가 도입되어 피크닉과 축제를 통해 오늘날의 쇼톤으로 이어졌다.

다른 기록에서는 캄의 나르탕 파크항(Narthang Parkhang in Kham)에 있는 두 개의 유물 싱잉볼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이곳은 티베트의 나무에 인쇄를 하는 곳으로 티베트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경전은 당시 그곳에서 나왔다. 또한 이전 부처님인 월송(Wolsong ,Kassapa Buddha, 카사파 부처님) 시대에 구걸하는 데 사용된 그릇도 언급된다.

또한 1989년 티베트의 옛 승려인 라마 투프텐 롭상 레체(Thupten Lobsang Leche)의 목격담도 있다. 그는 한때 드레풍 수도원에서 열린 종교 의식에서 4,000명이 넘는 승려들이 싱잉볼을 연주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1959년 이전에는 티베트에서 승려들은 큰 영향력을 가진 주요 종교 기관 중 하나였다. 또한 그는 어린 시절 같은 수도원에서 7개의 희귀한 싱잉볼 세트를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BoOk 티베트 싱잉볼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1] 티베트 싱잉볼 기원 - 3편(종결) (0) | 2025.03.12 |
---|---|
[BoOk1] 티베트 싱잉볼 기원 - 1편 (0) | 2025.03.07 |
[BoOk1] 티베트 싱잉볼이란? - 2편(완결) (0) | 2025.02.12 |
[BoOk1] 티베트 싱잉볼이란? - 1편 (0) | 2025.02.10 |
[BoOk1] 티베트 이해(Tibetan brief) - 2편(완결)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