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18

일본 ‘오린(おりん)’과 티베트 '싱잉볼' - 1편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기억을 한다. 집에서 향을 피우면서 기도를 할 때 비슷하게 생긴 싱잉볼을 치고 기도를 하거나 향을 피우는 걸 보았다. 그 싱잉볼이 어떤 책자에는 일본식 싱잉볼이라고 말하는 작가도 있는데, 이 논문 연구자는 싱잉볼과 구분하여 일본의 '오린(おりん)'을 소개하며, 주파수 특성 등 다양한 과학적 증거를 토대로 티베트 싱잉볼과 구분하였다.    일본 종교나 불교에서 쓰는 종인 ‘오린(おりん)’은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맨 밑에는 '오린받침'이 놓여 있고, 그 위에 '오린방석’ 이라고 불리는 작은 방석이 놓이고 그 위에 '오린'을 놓는다.   이 오린은 ‘오린 스틱’이라고 불리는 스틱으로 친다. 이때 아래의 그럼처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음파의 파형이 나타난다. 발생하는 음은 비교적 높은 음으로..

학술자료/논문 2024.05.01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4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4편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마이크로바이옴은 독소 해소나 소화 등등의 역할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하는데, 우리 몸과 특히 장에 사는 다양한 박테리아가 뇌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까? 그것은 어떻게 작용하고 환경은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3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3편에서는 살충제 외의 다른 환경적 요소에 대한 질문의 답을 이어나간다. ​    "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랐고, 독성 화학 물질 같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농업을 하고 있습니다. 파킨슨의 원인이 독소라고 한다면 이를 규명하기는 어렵지 않나요??​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2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3편에서는 파킨슨병 발명 편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자, 그럼 여기서 환경적 요인에 동등하게 노출되는 것을 감안할 때 왜 일부 사람들이 파킨슨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을까요? 특히, 왜 두 사람은 같은 노출을 했는데, 한 명만 진단을 받는 건가요? ?​     Tanya SimuniJ..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1편에서는 환경요인의 영향이 어떤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소개를 하고자 한다. "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들이 모두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무엇이 원인이었을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무엇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 주실 수 있나요? ​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 ​ 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5편(완결)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연구의 초기 자료를 검토해서 작성한 논문이라 최근의 싱잉볼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임상학적 부분이 빠져있어 아쉬웠지만, 그래도 싱잉볼의 역사에 대한 고증을 알려주고, 치유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는 논문이다. 이제 끝으로, 연구자가 치유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이야기를 제시하고 마무리한다. 뇌파(Brain waves) 또 다른 이론은 싱잉볼에 의해 만들어진 뇌파(brain waves)와 상관관계가 있는 뇌전도(EEG)에 기록된 뇌파 패턴이다. 1960년대에 노벨상 수상자인 생물물리학자 에르빈 네허(Erwin Neher)는 뇌파에 의해 변화된 뇌파와 명상 상태에서 만들어진 뇌 패턴의 상관관계를 실험하고 비교하였다. 베타파는 정상적인 뇌 상태에서 생성되는 반면, 알파파는 명상 및 이완 상..

학술자료/논문 2024.04.19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4편

싱잉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현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데이터를 언급하는 사람이 있다. "싱잉볼을 사용하여 어떤 수치의 결과를 얻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결과를 말하는 것이다. 2024년 기준으로 말을 하면, 원하는 객관적인 데이터는 무수한 논문과 책자, 임상실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대의 과학으로 밝혀낸 영역까지만 알 수 있고 그 너머의 싱잉볼의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을 할 수 없다. 현대 과학에서 바라보는 세계가 싱잉볼을 이해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더 많은 점들을 우리 과학계가 수용해 주고 연구해 준다면 싱잉볼을 쉽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에 아래의 글을 포함해서 5편에 이르기까지 현재 시점에서 바라보는 싱잉볼의 치유의 증거와 이론들이다. 오늘날 싱잉볼의 목적은 치유적인 용..

학술자료/논문 2024.04.17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3편

학창시설 음악 시간에 배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와 장조, 단조 등의 화성학은 지금도 어려운 학문(?)이라고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는 5음계인 "궁, 상, 각, 치, 우"라는 음계 체계이다. 이 음악 체계에 대한 이야기를 싱잉볼을 설명하면서 이번 글은 다루고 있어 내용을 확인해 보기 바란다. 동서양 음악 체계 (From east to west) 티베트 사람들이 싱잉볼을 사용했던 방식에 상관없이 한 가지는 확실하다. 서양 사람들은 분명히 싱잉볼에 의해 특별한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 무엇이 서양의 음악적 전통과 싱잉볼 소리와의 차별화를 만드는가? " 차이점은 바로 배음(harmonics)에 있다. 동양과 비교하여 서양 음악 전통은 배음에는 관심이 없다. 예..

학술자료/논문 2024.04.15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2편

논문을 읽다 보면 읽어도 '무슨 말이지' 그리고 '연결이 잘 안된다 '라는 글들이 있다. 그래서 논문을 읽고 나도 무슨 내용인지 파악이 되지 않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보곤 한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쉽게 그리고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쓴 논문이 아닌가 싶다. 샤먼 전통(Shaman tradition) 무속적 전통에 따라 대장장이들은 싱잉볼을 만들었다. 싱잉볼을 만드는데 사용된 금속 합금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싱잉볼을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승려들이 실제로 싱잉볼을 직접 만들었다는 다른 이론도 있다. 문제는 승려나 금속 대장장이들에 의해 원래의 방식으로 만들어진 싱잉볼을 아무도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싱잉볼은 여전히 생산되지만 주조되고 오래된 금속 합금은 사용되지 ..

학술자료/논문 2024.04.12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깊은 생각과 연구 - 1편

" Healing Sound: Contemporary Methods for Tibetan Singing Bowls " 제목만 보면 싱잉볼을 어떻게 현재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접근하게 되지만, 논문을 읽어보면 그 내용은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역사와 그 전통에 대한 이야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이 본문은 고찰(考察: 어떤 것을 깊이 생각하고 연구함)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싶기도 하다. 연구자가 많은 자료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싱잉볼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어 한 노고가 보인다. 이 논문에 대한 내용을 하나하나 알아보며 티베트 싱잉볼의 모습을 다시 한번 알아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싱잉볼의 기원과 목적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지만, 1967년에 민족음악학자들과의 탐구를 바탕으로 많..

학술자료/논문 2024.04.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