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진동 37

티베트 싱잉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주는가? - 1편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학술적 자료와 개인이 사용하면서 얻은 노하우가 함께 기록된 글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글의 작가는 "Everything Psychology Book"의 저자이며 아동심리와 재활의학 전문가인 켄드라 체리(Kendra Cherry)이다. 그녀의 글은 책과 다양한 컴럼에서 확인할 수 있고, 글을 읽어보면 과하지도 않고 겸손한 글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녀가 바라보는 티베트 싱잉볼의 역할에 대한 내용이 「very well mind」 (www.verywellmind.com)에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싱잉볼(singing bolws) 또는 히말라야볼(Himalayan bowls)이라고도 알려진 티베트 싱잉볼은 이완을 촉친하고 스트레스 해소하는 강력한 치유 효과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티베트 싱잉볼 소리 이해 (Sound Advice on Tibetan Singing Bowls) - 1편

티베트 싱잉볼에 대한 이해를 위해 침술가인 빌 레디(Bill Reddy)가 ACUPONTURE Today (www.acupuncturetoday.com)에 2023년 3월에 올린 글을 소개한다. 티베트 싱잉볼은 일곱 개의 "신성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천상의 물체나 행성을 나타낸다. 금 (태양) 은 (달) 수은 (수성) 구리 (금성) 철 (화성) 납 (토성) 주석 (목성) 음파(sound waves)는 분자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고, 우리 몸과 뇌에 공명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싱잉볼 요법을 "사운드 배스(sound bath)"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소리가 몸을 타고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치유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해서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싱잉볼의 사용은 기원전 ..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1편 연구 결과 이해

'싱잉볼연구소 율담'은 티베트 싱잉볼을 통한 치유를 이론적 측면도 중요하다고 여기며 지금까지 연구 중이고 앞으로도 더 많은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것이다. 그러면서 찾아오시는 분들과 함께 치유 세션을 하면서 이론과 실제 세션을 통해 임상적 증명을 해 오고 있다. 이런 중에 많은 부분들이 수수께끼를 풀아 나가듯 풀어져 나가고 있고, 이런 논문을 만나면서 싱잉볼에 대한 믿음이 한층 더 두꺼워진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서 실험용 쥐에 대한 실험연구이지만 그 답은 매우 유사하고 뇌의 신경전달 물질과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대해 글을 읽는 분들을 위해 3편으로 나눠 더 상세하게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불안은 많은 인구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신 질환이다. 면역..

학술자료/논문 2024.03.18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편 - 뇌의 감정반응 담당 내측전전두엽피질(mPFC)

싱잉볼과 불안장애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용 쥐 대상 연구 논문의 3편은 뇌의 감정반응을 담당하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에 대한 내용이다.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기억과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관여하고, 특정 상황이나 시간, 장소에 대한 가장 적합한 행동 또는 감정반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포와 불안감 조절을 관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결과 싱잉볼 진동 치료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의 흥분/억제 관련 단백질 수준을 정상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불안 유사 행동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뇌 영역의 다양한 흥분성 및 억제성 단백질의 수준을 분석했다. RS(억제스트레스)(F = 13.922, P < 0.001, P ..

학술자료/논문 2024.03.15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2편 - 뇌의 체성감각피질 반응

설치류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싱잉볼 치유 연구의 2편을 소개한다. 이번 글에는 뇌에서 작용하는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는 체성감각피질(SSC)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단순하게 싱잉볼의 진동과 주파수가 치유를 일으킨다는 설명이 아닌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그 연구결과가 주목받는다. 아래의 연구결과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은 내용을 한번 읽어 보기를 바란다. " 전전두엽피질(PFC)은 불안의 병태 생리에 관여하는 뇌의 중요한 부분이고, 해마(Hippocampus), 편도체, 시상하부 및 체성감각피질(SSC)을 포함한 불안 및 스트레스 반응을 직접 제어하는 뇌 영역에 연결된다. 인간 연구의 결과는 체성감각피질(SSC)과 공포와 불안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뇌 영역 사이의..

학술자료/논문 2024.03.13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1편 - 소리 vs 진동

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된 논문들은 모두 지금까지 인간을 대상으로 한 논문을 보았다. 그런데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설치류인 실험용 쥐를 가지고 싱잉볼 치료 효과를 단순한 결과만의 측정이 아닌 뇌의 신경학적 전달물질이나 주파수 등등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설치류와 인간은 다르지만, 인류가 발전하면서 치료약품 개발에 없어서는 안 될 것이 실험용 쥐였다. 이 쥐를 통해 인간에게 바로 할 수 없는 실험 결과를 보여주어 뜻깊은 자료이다. 불안은 면역, 내분비, 신경, 대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균형에 해로울 수 있다. 불안을 포함한 기분 관련 장애의 출현 또는 심각성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불안장애는 공포 및 불안 관련 뇌 회로의 스트레스 관련 기능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학술자료/논문 2024.03.11

[논문] 7개의 싱잉볼로 하면 정말 치유의 효과가 더 있나?: 싱잉볼 7개 음향적 특성 (완결)

싱잉볼 크기에 따른 음향 특성 싱잉볼 하나의 음향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 봐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음향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그럼 다양한 크기의 싱잉볼의 기하학적인 특징에서 소리 스펙트럼을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가장 큰 싱잉볼의 크기는 지름 358 mm이고, 순차적으로 작아져서 7개의 싱잉볼을 구성하였다. 싱잉볼 7개에 대한 음향적 주파수 특성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확인하였다. 싱잉볼들 사이의 소리 스펙트럼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본 주파수는 달랐다. 하나의 싱잉볼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본 주파는 구조적 진동 모드에 따라 다르고, 다른 음향의 소리를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나, 모든 싱잉볼에 대한 주파수 비율은 정비 비율로 3배, 5개에 가까운 값들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학술자료/논문 2024.02.05

[논문] 7개의 싱잉볼로 하면 정말 치유의 효과가 더 있나?: 1개 싱잉볼로도 치유 가능?(1편)

처음 싱잉볼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궁금했던 게, 왜 차크라별로 다른 크기의 싱잉볼로 때로는 다른 음정의 싱잉볼로 치유를 해야 하는지 물음표가 생겨났다. 그때 그 궁금증을 풀어준 논문이 이번에 소개할 논문이다. 논문의 목적은 주파수 분석을 통해 싱잉볼 음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함도 있어 아래의 링크에서 유한요소해석(FEA, Finite Element Analysis), 실험모드해석(EMA, Experimental Modal Analysis)에 대한 내용을 한번 확인해 보면 글을 읽는 데 도움이 될 거 같다. [논문] 싱잉볼의 자연 그대로 '주파수 찾기' 싱잉볼의 특성을 연구하다 보면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소리와 진동 그리고 주파수의 특성이 궁금해질 때가 있다. 싱잉볼 치유의 기전에 대해서 아직 ..

학술자료/논문 2024.02.02

[논문] 문헌검토(review) 싱잉볼 특성 이해 : 물리적 특성(1편)

싱잉잉볼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문헌 조사(review)를 통행 싱잉볼을 소리, 물리적 특성, 그리고 임상적 특성을 모두 연구한 국내 논문이다. 싱잉볼 치유에 대한 실험이나 임상적 연구를 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싱잉볼 연구자들이 한번 꼭 읽어보기를 추천하고 싶은 논문이다. 싱잉볼의 특성을 명확히 알기를 희망하는 분들이라면 앞으로 게재할 글들을 모두 읽어 보기를 바란다. 싱잉볼 소리는 싱잉볼의 크기나 모양, 두께 등에 따라 고유한 음향학적인 특징을 가진다. 싱잉볼을 연주할 때 나는 소리는 생리적 및 심리적 반응을 유도하여 명상에 도움을 주어 치유 프로그램에 활용된다. 싱잉볼의 소리는 인체에 심박수, 혈압, 긴장, 분노, 졸음, 뇌파 등에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싱잉볼 소리가 명상 혹은 대체 의학적으..

학술자료/논문 2024.01.25

싱잉볼 치유 세션 : 공명 요소(Resonance aspect)

인체의 모든 기관은 특정 주파수로 진동한다는 가설이 있다. 건강한 기관은 병리 상태에 있는 기관의 진동수에 따라 다른 주파수로 진동한다. 인체의 기관이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는 연구는 세포, 뼈, 피부, 일부 기관에 대해서는 연구된 결과가 있다. 우리 몸의 특정 주파수로 진동한다고 하면, 싱잉볼의 진동수 특성이 건강한 신체의 진동수 범위 내에 있다면 싱잉볼의 진동수는 병리 기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건강하지 않은 진동을 건강한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현대 과학의 연구결과를 보면, 신체의 구조, 특성, 기능에 있어서 모든 다양성을 가진 인간의 몸은 원자, 분자, 세포, 세포 간, 조직, 신체 기관 수준(level), 그리고 시스템 수준(level)이라는 하나의 통합된 신체 기능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