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술자료 80

[최신 의학] 우리나라 연구팀 세계 최초 액체금속 회로 뇌 이식 개발

우리나라 연구진의 놀라운 쾌거가 있어 소개한다. 최근에 뇌 이식 칩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뇌에 이식하는 칩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이제는 뇌의 기능이 떨어진 질병이나 환자들을 위해 필요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은 했지만, 전자 칩과 금속이 뇌에 이식되는 데에 따르는 부작용을 무시할 수 없어 지켜보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액체로 뇌에 이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기쁘다. 아래의 글은 연세대학교 뉴스룸(https://www.yonsei.ac.kr)에 올라온 기사를 정리하였다. 관련된 연합뉴스 동영상도 있어 함께 올려본다. 전기 전자 분야에서 난제로 여겨졌던 다기능성 완전 생분해성 뇌신경 광전자 임플란트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해당 시스템을 활용해 설치류 모델에..

학술자료/의학 2024.03.25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3편 연구 결과 이해(완결)

싱잉볼의 소리는 설치류인 실험용 쥐에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마지막 결론에 저자는 논리적 근거와 실험 결과를 가지고 마무리를 하였다. 그래서 누구에게는 좋은 싱잉볼 소리이자만 누구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히자만, 중요한 것은 그 진동이 인간을 넘어 모든 동물들에게도 유익한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GABAergic(감마아미노 낙산을 생산하는 신경세포) IN는 전체 전전두엽 피질(PFC) 뉴런의 최대 25%를 구성한다. 그중에서도 피드백 및 피드포워드 억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진동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빠른 간(fast-spiking) 파르발부민(PV) IN은 잘 특성화되어 있어 정량적이고 상세한 연구를 위한 연구 모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적절한 뇌의 흥분/억제 균형을 유..

학술자료/논문 2024.03.22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2편 연구 결과 이해

싱잉볼과 치유의 연결점을 한층 더 발견할 수 있었던 논문의 결과에 대해 두 번째 편을 게시한다. 실험용 쥐를 이용한 연구이지만도 그 성과는 뜻깊다고 생각된다. 중추신경계(centrol nervous system)와 관련된 내용으로 마무리하겠다. 이 연구를 진행한 교수님은 지속적으로 싱잉볼 논문을 발표하고 계시다. 이런 교수님이 앞으로 연구를 더 많이 해 주기를 바라며, 인연이 된다면 만나 뵙고 싶다. 중추신경계의 주요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각각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GABA이다. 글루타메이트 유출은 시냅스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신경세포 사멸 및 시냅스 장애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특히 영향을 받는 뇌 영역인 체성감각피질(SSC) 및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에서 다양..

학술자료/논문 2024.03.20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1편 연구 결과 이해

'싱잉볼연구소 율담'은 티베트 싱잉볼을 통한 치유를 이론적 측면도 중요하다고 여기며 지금까지 연구 중이고 앞으로도 더 많은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것이다. 그러면서 찾아오시는 분들과 함께 치유 세션을 하면서 이론과 실제 세션을 통해 임상적 증명을 해 오고 있다. 이런 중에 많은 부분들이 수수께끼를 풀아 나가듯 풀어져 나가고 있고, 이런 논문을 만나면서 싱잉볼에 대한 믿음이 한층 더 두꺼워진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서 실험용 쥐에 대한 실험연구이지만 그 답은 매우 유사하고 뇌의 신경전달 물질과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대해 글을 읽는 분들을 위해 3편으로 나눠 더 상세하게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불안은 많은 인구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신 질환이다. 면역..

학술자료/논문 2024.03.18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3편 - 뇌의 감정반응 담당 내측전전두엽피질(mPFC)

싱잉볼과 불안장애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용 쥐 대상 연구 논문의 3편은 뇌의 감정반응을 담당하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에 대한 내용이다.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기억과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관여하고, 특정 상황이나 시간, 장소에 대한 가장 적합한 행동 또는 감정반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포와 불안감 조절을 관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결과 싱잉볼 진동 치료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의 흥분/억제 관련 단백질 수준을 정상화 내측전전두엽피질(mPFC)은 불안 유사 행동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뇌 영역의 다양한 흥분성 및 억제성 단백질의 수준을 분석했다. RS(억제스트레스)(F = 13.922, P < 0.001, P ..

학술자료/논문 2024.03.15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2편 - 뇌의 체성감각피질 반응

설치류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싱잉볼 치유 연구의 2편을 소개한다. 이번 글에는 뇌에서 작용하는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는 체성감각피질(SSC)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단순하게 싱잉볼의 진동과 주파수가 치유를 일으킨다는 설명이 아닌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그 연구결과가 주목받는다. 아래의 연구결과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은 내용을 한번 읽어 보기를 바란다. " 전전두엽피질(PFC)은 불안의 병태 생리에 관여하는 뇌의 중요한 부분이고, 해마(Hippocampus), 편도체, 시상하부 및 체성감각피질(SSC)을 포함한 불안 및 스트레스 반응을 직접 제어하는 뇌 영역에 연결된다. 인간 연구의 결과는 체성감각피질(SSC)과 공포와 불안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뇌 영역 사이의..

학술자료/논문 2024.03.13

실험용 설치류로 알아본 불안장애-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신경 체계 해석 : 1편 - 소리 vs 진동

싱잉볼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된 논문들은 모두 지금까지 인간을 대상으로 한 논문을 보았다. 그런데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설치류인 실험용 쥐를 가지고 싱잉볼 치료 효과를 단순한 결과만의 측정이 아닌 뇌의 신경학적 전달물질이나 주파수 등등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설치류와 인간은 다르지만, 인류가 발전하면서 치료약품 개발에 없어서는 안 될 것이 실험용 쥐였다. 이 쥐를 통해 인간에게 바로 할 수 없는 실험 결과를 보여주어 뜻깊은 자료이다. 불안은 면역, 내분비, 신경, 대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의 정상적인 생리적 균형에 해로울 수 있다. 불안을 포함한 기분 관련 장애의 출현 또는 심각성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불안장애는 공포 및 불안 관련 뇌 회로의 스트레스 관련 기능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학술자료/논문 2024.03.11

싱잉볼 맥놀이 주파수의 새로운 측정 방식 - 밴드형 도파관 이론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싱잉볼 소리와 진동의 특성을 알아보는 논문들을 보아왔다. 주파수 분석 방식에서 시작하는 FEA, EMA, OMA 분석법들이었다. 모두 비선형적 모델도 가능한 방법들이었는데 이제 소개할 밴드형 도파관(banded waveguides) 방식도 비선형 모델도 가능한 방법으로 더 음악적 형태를 가지는 형체에 유리한 방법으로 보인다. 밴드형 도파관(banded waveguide) 이론은 복잡하게 공명하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는 기술이다. 전통적인 도파관 이론을 응용하여 공명하는 물체의 특성을 명확하게 측정하고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 방식이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연구진들이 고안한 이론으로 와인 잔과 싱잉볼에 적용하기 유리한 방식이다. 굴곡 형태의 와인 잔을 문지르거..

학술자료/논문 2024.03.04

[논문]싱잉볼 소리의 실시간 공간 공명을 통한 우리 몸 변화 해석법

음향, 톤, 음조, 그리고 음정 등등 다양한 형태로 소리를 구분하거나 정의하여 부른다.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소리의 특성을 공간과 함께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SOUND + SPACE = ? 소리가 울려 퍼지기 위해서는 우리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 공간에서의 소리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연구자는 더 나아가 이를 우리 신체에 적용하였다. 우리 외부의 물리적 신체와 내부의 마음의 관계를 소리와 공간으로 바라보며 연구를 하였다. 싱잉볼 소리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공간 처리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그 풍부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8개의 티베트 싱잉볼을 쳤을 때 나타나는 각 싱잉볼이 진동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싱잉볼은 디지털 모델링으로 위해 1차와 2차 필터를 통과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학술자료/논문 2024.02.19

[논문] 7개의 싱잉볼로 하면 정말 치유의 효과가 더 있나?: 싱잉볼 7개 음향적 특성 (완결)

싱잉볼 크기에 따른 음향 특성 싱잉볼 하나의 음향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 봐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음향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그럼 다양한 크기의 싱잉볼의 기하학적인 특징에서 소리 스펙트럼을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가장 큰 싱잉볼의 크기는 지름 358 mm이고, 순차적으로 작아져서 7개의 싱잉볼을 구성하였다. 싱잉볼 7개에 대한 음향적 주파수 특성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확인하였다. 싱잉볼들 사이의 소리 스펙트럼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본 주파수는 달랐다. 하나의 싱잉볼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본 주파는 구조적 진동 모드에 따라 다르고, 다른 음향의 소리를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나, 모든 싱잉볼에 대한 주파수 비율은 정비 비율로 3배, 5개에 가까운 값들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학술자료/논문 2024.02.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