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술자료 80

[논문] 동양의학과 고대소리치유의 최근 동향 - 1편 : 요가 치유 이야기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동양전통의학 체계에 대한 논문을 소개하라고 한다. 많이들 알고 있지만 병리학적으로 그 특성을 짧게 남아 알려주고, 동양철학과 함께 설명해 주고 있다. 이 논문의 저자는 Goldsby 박사(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Public Health,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California Institute for Human Science)는 동양의학 관련된 연구 중에서도 싱잉볼에 대한 CNN 방송 출연, 칼럼, 그리고 논문 등의 글을 기고한 바가 있어 그 내용이 싱잉볼을 연구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 글들이 공감이 많이 된다. 만성 스트레스는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고, 만성적인 심리 사회적 ..

학술자료/논문 2023.09.20

[논문] 서양 의학 체계로의 싱잉볼 발돋움

'오리엔탈 신비주의'라는 말을 처음으로 들었던 것은 호주에서 유학하면서 호주 친구들에게서 들었다. 동양의 문화와 역사가 개인적으로 더 풍부하고 깊이가 있다고 생각이 들기에 서양인들의 저런 말들은 지금에서야 더 깊게 이해가 된다. 그러기에 이 논문처럼 동양의 싱잉볼 명상을 서양인들의 문화와 관점으로 바라보기 위해 과학적 방법을 시도한 논문이다. 이 논문이 있었기에 아래의 논문도 탄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논문] 일반 명상 vs. 싱잉볼 명상? ​ 소리의 진동은 신체와 정신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가능한 이유는 바로 이완(relaxation) 때문이다. 개인의 정서적, 신체적 행복 singingbowl-yuldam.tistory.com 1975년 ..

학술자료/논문 2023.09.18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6편(완결)

​ 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의 최종 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나와있는 싱잉볼 관련 글, 책, 그리고 논문에서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던 내용이다. 특히, '싱잉볼연구소 율담'에서 바라보고 있는 싱잉볼 치유의 메커니즘들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 내용을 올리고 많은 분들이 읽어보고 싱잉볼의 영향력과 그 치유의 기전을 찾는데 한 걸음 더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란다. 후성유전학(epigenetic) 영향 우선, 후성유전학이 무엇인지부터 한번 알아보고 가보자. 사실, 인체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는 게놈(genome)을 해독해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고 유전자 배열을..

학술자료/논문 2023.09.10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5편

​ 싱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이 있어 이제 5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의사(clinician)가 환자에게 싱잉볼 명상을 제안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내용이다. ​ 의사가 환자에게 싱잉볼 명상을 권할 수 있는 조건 앞의 4편에서 보았듯이, 연구자는 그 근거를 바탕으로 휴식, 스트레스 감소, 안녕감(well-being) 향상을 추구하는 환자들에게 싱잉볼 명상을 추천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완 시간에 싱잉볼은 생리적, 심리적 효과가 이전의 침묵에 의한 이완시간에 비해 수축기 혈압과 심박수의 더 큰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관찰되었다. 게다가, 티베트..

학술자료/논문 2023.09.08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4편

​ 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이 있어 이제 4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편에서는 싱잉볼 치유의 효과의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자는 그간 연구되어 온 논문을 근거로 하여 주장을 하며 치유의 근간을 찾고자 하는 내용이다. 싱잉볼 사운드 치유의 긍정적인 효과의 기반이 되는 메커니즘이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지만, 몇 가지 가능성이 제안되었다. 뇌파(Brainwave) 전환 한 가지 가능한 효과는 사운드가 특히 잔잔한 음악이나 싱잉볼의 진정한 음색(tone)을 들을 때 뇌파(brainwave)가 베타파에서 세타파 또는 델타파로 전환되는 것과 같은 뇌파 패턴의 변화를 ..

학술자료/논문 2023.09.06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3편

​ 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이 있어 연속 시리즈로 3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편에는 연구자가 기존 8편의 싱잉볼 연구 논문을 소개한다. 이 논문을 소개한 이유는 병의학적 그리고 임상학적으로 싱잉볼 연구의 진행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싶어서이다. 우리 '싱잉볼연구소 율담' 블로그에도 일부 논문이 소개된 논문도 포함되어 있다. 포함되지 않은 논문은 검토하여 더 자세하게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글에는 간단한 연구 내용과 결과만 보고 이해해 주기를 바랍니다. 논문 저자(연도) 연구목적 연구 방법 결과 비고 Landry(2014) 생리적, 심리적 효과 싱잉볼과 묵상 명..

학술자료/논문 2023.09.04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2편

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이 있어 1편에 이어 2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편에 소개할 싱잉볼 내용은 단일 싱일볼 사용과 여러 개의 싱잉볼 사용을 함에 있어 어떤 특성과 내용이 들어 있는지 알려준다. 간략하게 싱잉볼을 한 개 사용하는 것과 여러 개의 사용하는 것에 대한 치유적 설명을 통해 싱잉볼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랍니다. 소리 치유에서, 단일 싱잉볼과 여러 개의 싱잉볼을 사용은 시술자나 치유를 받는 사람의 구체적인 목표와 선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단일 싱잉볼을 사용하면 하나의 집중적인 소리 경험을 할 수 있고, 신체의 특정 부위나 차..

학술자료/논문 2023.09.02

[논문] '싱잉볼연구소 율담'과 같은 방향 연구자와의 만남 - 1편

​ 싱잉볼 관련 역사, 기록, 전통, 치유, 명상, 에너지 체계 등등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싱잉볼연구소 율담'이 추구하는 연구방향과 같은 2023년 7월에 발간된 논문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 이 논문은 최근 이루어진 싱잉볼 소리 명상이 기분, 긴장 그리고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싱잉볼 연구 논문을 요약정리하며 소개하였다. 여러 연구를 소개하였는데 해당 연구는 이 블로그의 [논문]에 모두 한 번씩 소개된 논문이기도 하다. 그만큼 연구자도 치유의 긍정적인 효과를 찾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는 거 같다. ​ 싱잉볼 진동의 기능적 설명으로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s), 뇌파(brain waves)의 변화 그리고 생체장(biofield)으로 알려진 인체를 둘러싼 에너지장과 상호작용..

학술자료/논문 2023.08.31

[논문] 싱잉볼 고유주파수 분석 방식 - 비선형회귀 방법 및 ANSYS 소프트웨어

논문이 수학적인 모델식과 이론이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운 분들은 논문을 읽지 말고 아래의 내용을 한번 읽어보고 마무리했으면 좋겠다. 공학도가 아닌 이상 이 논문을 읽어 내려가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싱잉볼은 생김새를 엄밀히 말하면 반구형(hemispherical) 형태를 가진 악기로 스위스의 타악기 행(hang), 그리고 교회의 종(bell) 등과 같다. 반구형 모양(hemispheical shell)의 특성은 특히 주파수(음정) 제어가 필요한 음악에 중요하다. ​ ​ 이 논문은 반구형 모양이 주파수 분석을 유한요소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FEA)이 선호되지만 비용과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선형 방식을 사용하여 그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술자료/논문 2023.08.29

[논문] 이완 반응(Relaxation response)의 최고봉 찾기

이 논문은 하버드 의과대학 심신의학과 교수인 허버트 벤슨(Herbert Benson) 박사의 '이완 반응(relaxation response)'을 유도하는 방법 중에 싱잉볼 소리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허버트 벤슨 박사는 최초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이완 반응을 통해 완화하는 방법을 의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하였다. 이 이완 반응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한 심신 스트레스 반응의 생리적 메커니즘을 확인하여 심신의 안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스트레스 반응을 낮추기 위해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감신경계 활동을 억제하며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불안(Anxiety)은 주요 정신건강장애 중 하나로 사회문제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

학술자료/논문 2023.08.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