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병 이해 84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신경아세포종은 신체의 여러 부분에 있는 특정 종류의 신경 조직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복부나 가슴에 있는 신경에서 발생하며, 부신(신장 바로 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뇌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소아의 반 이상의 경우 의사가 확인했을 때는 암은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된 상태이다. 신경아세포종은 영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모든 연령의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 전체 신경아세포종의 대략 90%가 5세 보다 어린 소아에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대부분 이 종양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신경아세포종은 드물게 유전된다. 신경아세포종의 증상 신경아세포종의 증상은 다음과 같이 신경아세포종이 발생하는 부위와 확산 여부 및 확산..

속질모세포종(Ependymomas)

속질모세포종은 소뇌(협응과 균형 조절을 돕는 뇌의 부분)에서 발생하여 급속하게 성장하는 뇌종양이다. 소아의 뇌와 척수 암 중 대략 20%를 차지한다. 이 종양은 3 ~ 4세 또는 8 ~ 10세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아와 유아에서, 청소년기까지 발생할 수 있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신체동작의 조종력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의 다른 부위와 척수까지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확산한다. 속질모세포종은 뇌 뒤의 대뇌 아래 위치하여 협동과 균형을 조절하는 뇌의 부분(소뇌)에서 발생한다. 속질모세포종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다. 때때로 특정 유전성 장애(고린 증후군이나 터코트 증후군 같은)가 있는 사람에서도 발생한..

뇌실막세포종(Ependymomas)

뇌실막세포종은 뇌 안에 있는 공간(뇌실)의 내부를 싸는 세포에서 발생하여 천천히 발육하는 뇌종양이다.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뇌실막세포종은 소아의 뇌종양 중 10%를 차지하는 세 번째로 흔한 뇌종양이다. 뇌실막세포종으로 진단받은 대다수의 소아는 8세 미만이다. 약 1/3이 3세 미만의 소아에서 발생하고, 대부분의 뇌실막세포종은 뇌의 뒤 쪽 두개골 바닥(후두와)에서 또는 근처에서 발생한다. 이 부위는 소뇌(협응과 균형 조절을 도움)와 뇌간(호흡 같은 중요한 신체 기능을 조절함)을 포함한다. 뇌실막세포종은 뇌간까지 확산되는 경향이 있고, 때로는 뇌실막세포종이 척수에서도 발생한다. 뇌실막세포종의 증상 뇌실막세포종의 첫 증상은 종종 두개골 내 압력 증가에서 기인한다. 여기에는 두통, 구토 및 무기력이 포..

별아교세포종(Astrocytomas)

별아교세포종은 뇌(또는 척수) 안의 신경 세포 기능을 돕는 별 모양의 세포(별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뇌 및 척수의 종양이다. 이러한 종양이 암성이거나 아닐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은 소아 뇌종양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소아의 뇌종양이다. 이러한 뇌종양은 일반적으로 5세와 9세 사이 소아의 진단에서 나타난다. 별아교세포종의 증상 두개골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두통과 구토, 및 무기력증을 유발한다. 소아는 신체 동작의 조종력을 상실하여 보행 곤란이 있을 수 있다. 시력이 흐려지거나 상실될 수 있으며, 눈이 돌출하거나 무의식적으로 한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인 후 천천히 되돌아온다. 또는, 척수 내 별아교세포종은 허리 통증, 보행 곤란 및 근육 쇠약을 초래할 수 있다. 별아교세포종의 진단 일반적으로 조영제..

소아의 뇌종양(Brain tumor in children)

뇌종양은 15세 미만의 소아에게 발생하는 암 중 두 번째(1순위 백혈병)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뇌종양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고용량의 방사선 및 특정 유전 질환(예, 신경섬유종증)은 뇌종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종양(Brain tumor) 뇌 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한 종양과 머리뼈나 주변 구조물로부터 몰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 조직이나 뇌막으로 전이된 종양을 의미한다. 소아의 가장 일반적인 뇌종양은 별아교세포종이며, 그리고 속질모세포종, 뇌실막세포종 등이 있다. 뇌종양의 증상 뇌종양 증상은 두개골 내의 압력 증가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종양이 뇌 안이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았기 때문에 또는 종양이 공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압력이..

소아암(Childhood cancer)이란?

암은 어른인 우리에게도 받아들이기 힘든 질병 중의 하나이다. 이런 암이 아이들에게 발병하여 고통과 아픔을 주는 현실이 모습이 안타깝다. 아이들은 우리의 희망이고 미래인데 이런 아이들에게 질병이 발생하여 병원에서 생활하고 치료받고 하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 아이인 본인과 가족들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다. 암이 발생하지 않으면 좋겠지만, 만약 소아암이 아이들에게 발병한다면 그 암의 종류와 원인 등등이 정보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도지 않을까 싶어 MSD 매뉴얼(https://www.msdmanuals.com)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하여 연재하려고 한다. 주요 지표를 우리나라 자료를 찾고 싶었지만 자료가 없는 경우가 많아 미국 통계를 자료를 사용한다. 소아암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1,000~1..

[The Michael J. Fox Foundation Parkinson's PODCAST] 2023년 재단 파킨슨병 연구 업적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3년 11월 29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전체 내용은 바이오마커(biomarker), 줄기세포(stem cell), 도파민 재주입 방법 등등이 있지만 주요한 성과를 거둔 바이오마커 내용만 올리고, 나머지 내용은 추가로 연구가 진행되면 소개하겠다. 2000년대 초반에 시작한 이래로 수십 년 동안 바이오마커(biomarker)에 대한 노력을 지원해왔다. 그리고 우리가 이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보다 객관적인 파킨슨병 진단 지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마카(Biomarker) 일반적으로 단백질이나 DNA, RNA(리복핵산), 대사물질 등을..

[논문] 싱잉볼로 파킨슨병 치료 : 2편 - 근육 긴장 완화(완결)

중국과 티베트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 아프고 슬픈 역사가 생각난다. 하지만, 소중한 문화를 유지하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한다면 그 관계는 다시는 악화되지 않고 개선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꿈꾼다. 이제 이 논문의 마지막 편을 올리면서 싱잉볼의 모습이 더 발전되고 나아가는 방향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결과 우울증과 인지능력에 대한 검사 결과는 모두 싱잉볼 요법을 한 그룹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제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운동성 장애 중의 하나의 떨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4 주간의 싱잉볼 요법을 받은 그룹은 근긴장 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이 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근긴장 이상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근육이 수축되고 꼬이면서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거나 이로 인한 불수의..

[논문] 싱잉볼로 파킨슨병 치료 : 1편 - 쓰촨성 인민병원(Sichuan provincal People's Hospital)

티베트 싱잉볼을 활용한 연구를 중국에서도 분명히 진행했을 거라는 믿음이 있어 중국학술저널를 검색하던 중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서 중국 쓰촨성 인민병원에서 연구하여 2023년에 발간한 논문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들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싱잉볼을 사용하였다. 한의학이 발달한 중국은 아유르베다 의학을 근간으로 하는 싱잉볼 요법을 병원에서, 그리고 70 명 정도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연구한 모습이 부럽다. 아직 우리나라는 싱잉볼에 대해서 일부 한의사들에게는 알려졌지만, 의료계가 아직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어(간체)를 알지 못하기에 '파파고'의 도움을 받아 번역한 내용을 일부 수정하면서 글을 올려본다. 파킨슨병은 흔히 볼 수 있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 주요 임상적 증상은 근육 강직, 떨림 등의 운..

[최근 의학] 줄기세포 기술로 파킨슨병 치료 개시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논란만 없었으면, 우리나라의 줄기세포 연구는 세계를 달리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한다. 유전학 측면에서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세포를 이해하면 할수록 가장 작은 단위의 분자, 원자 단위에서 변화를 만들어 치료를 하면 획기적일 것이다. 그래서, 줄기세포를 활용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고, 전 세계의 많은 연구가들이 연구를 해 나가고 있다. 2023년 11월 20일에 우리나라 기업이 일본에서 치료를 시작한다는 소식이 있어 전한다. 심상훈 기자가 쓴 기사 내용 전문을 모두 올린다. 특허받은 기술로 배양한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정맥내와 척수강내로 투여하여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재생의료 기술이 일본 후생성의 승인을 받았으며 12월부터 도쿄의 신주쿠 클리닉에서 치료를 개시한다. 승인받..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