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병 이해 139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 - 1편

"신경성 식욕부진(거식증)"은 끊임없이 마른 몸매를 추구하며, 신체 이미지가 왜곡되어 있고, 비만을 극도로 두려워하며, 음식 섭취를 제한하여 체중이 현저하게 적은 특성이 있는 섭식장애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대체로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반에 시작되고 사춘기 전이나 40세 후에 시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생 동안 최대 4%의 여성들이 신경성 식욕부진에 걸릴 수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남성에서는 흔하지 않다. 그러나, 경증의 경우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재미나게도, 식량 부족이 만연한 지역에서는 신경성 식욕부진이 드물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제한적 유형(Restricting type) : 먹는 양을 제한하지만 정기적으로 폭식을 하거나 섭취한 음식물을 강제 구토하거나 설사제를 복용..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는 종종 많은 양의 음식을 매우 빨리 섭취(폭식) 하는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 멈출 수 없다고 생각한다. 폭식 후에는 자신을 제어할 수 없던 것에 매우 불쾌해 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기 때문에 과체중이 된다. 폭식하지만 이후 스스로 구토하려고 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경우, 2017년 기준 약 3.5%의 여성과 2%의 남성이 1.6% 아동이 폭식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장애는 체중 증가 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일부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따르면 비만인 사람의 30% 이상에게 이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식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며, 이 장애는 칼로리 과다 섭취의 원인에 해당된다. 이와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이 터부(taboo) 시하는 다양한 증상 - 3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4월 24일 내용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파킨슨병과 관련된 우리가 알지 못했거나 말하기 꺼려지는 증상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마지막 편은 노화와 파킨슨병을 구별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이다. 내용은 당연하지 하지만, 실제 우리가 그 현실에 처하게 되면 쉽게 할 수 없을 거 같아 글을 올려본다. ​   " 환자가 더 나이가 많으면 파킨슨병과 정상 노화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그걸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Benzi Kluger​MD, MS, a professor of neurology and medicine and director of the Palliative Care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이 터부(taboo) 시하는 다양한 증상 - 2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4월 24일 내용을 정리했다. 이번 편은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료의 방법을 이야기한다. 호스피스로 우리에게 알려진 완화치료(palliative care)가 미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모습에 우리도 시급히 이루어지를 바라며 짧은 글을 올려 본다. ​   " 사회적 낙인과 수치심을 느끼는 파킨슨 환자들이 사람들과의 관계, 사회생활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이는데,  완화치료(palliative care)를 받고 있는 환자들이 있다고 하는 어떤 것인지 설명해 줄 수 있나요? "​ ​Benzi Kluger​MD, MS, a professor of neurology and medicine..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이 터부(taboo) 시하는 다양한 증상 -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4월 24일 내용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파킨슨병과 관련된 우리가 알지 못했거나 말하기 꺼려지는 증상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첫 편은 흥미롭게도 파킨슨병 환자인 전(前) 산부인과 의사였고, 지금은 마이클 제이 폭스 재단의 연구원으로 있는 의사 캐런 재프(Karen Jaffe)의 질문으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금기'시 되어온 증상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로 한다.      " 파킨슨병은 다양한 증상과 삶의 변화를 동반하며 사람마다 다릅니다. 파킨슨병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려운 증상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에 대해 말해 주실 수 있나요? "​      Benzi KlugerMD, MS, a pro..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4편(완결)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4편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마이크로바이옴은 독소 해소나 소화 등등의 역할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하는데, 우리 몸과 특히 장에 사는 다양한 박테리아가 뇌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까? 그것은 어떻게 작용하고 환경은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3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3편에서는 살충제 외의 다른 환경적 요소에 대한 질문의 답을 이어나간다. ​    "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랐고, 독성 화학 물질 같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농업을 하고 있습니다. 파킨슨의 원인이 독소라고 한다면 이를 규명하기는 어렵지 않나요??​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2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3편에서는 파킨슨병 발명 편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자, 그럼 여기서 환경적 요인에 동등하게 노출되는 것을 감안할 때 왜 일부 사람들이 파킨슨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을까요? 특히, 왜 두 사람은 같은 노출을 했는데, 한 명만 진단을 받는 건가요? ?​     Tanya SimuniJ..

[MJFF Parkinson's PODCAST] 파킨슨병 발병 원인은 환경 요소?- 1편

아래의 내용은 파킨슨병에 대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Michael J. Fox foundationd의 2024년 3월 27일 내용을 정리해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고자 한다. 팟캐스트의 내용은 파킨슨병 발병에 대한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1편에서는 환경요인의 영향이 어떤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소개를 하고자 한다. "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들이 모두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무엇이 원인이었을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무엇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 주실 수 있나요? ​ Tanya SimuniJoohi Jimenez-Shahed ​ MD, an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t the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신경성 폭식증"은 반복적으로 다량의 음식을 빠르게 섭취(폭식) 하고 나서, 과도하게 섭취한 음식에 대한 보상 행동을 하려는 것(예: 섭취한 음식물을 강제로 제거, 금식 또는 운동)을 특징으로 하는 섭식장애이다. 신경성 식욕부진과 마찬가지로, 신경성 폭식증은 유전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신경성식욕부진과 같이, 신경성 폭식증 환자의 대부분은 몸매와 체중에 대해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이다. 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나타나고, 한 해를 기준으로 젊은 여성 100명당 약 1명꼴로 신경성 폭식증이 있다. 신경성 폭식증의 증상 신경성 폭식증이 있을 경우 폭식 에피소드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시간과 비슷한 상황에서 먹는 음식량보다 훨씬 많은 양을 섭취한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