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353

드릴부(Drillbu) - 이해

이 소리는 인간의 귀에 뚜렷하게 들리는 높은 음으로 신들의 관심을 끄는 신비로운 성질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소리를 내는 사람, 시간 그리고 중요한 의식에 엄격하게 고정되어 있다. 어떤 곳에서는 신마다 다른 타법이 있었다. “방법”(vajra)과 “지혜(drillbu)가 연결되어 있어, 그것들은 모두 합쳐져서 모든 이중성, 즉 행복과 공허함, 연민과 지혜, 외모와 현실, 관습적인 진리와 궁극적인 진리, 그리고 남성과 여성 등의 결합을 구현하면서 깨달음을 상징한다. 살아있는 존재에게 무지와 탐욕, 잔인함 등을 없애고 깨달음의 길을 따르게 하는 것이 능숙한 수단이다. 지혜는 궁극적인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통찰력이다; 그것은 공허함을 깨닫는 지혜이다. ​ ​ 이해 ​ 드릴부(Drillbu)라고 알려진 손잡..

띵샤(Ting-sha) - 제작 방법

주물과 기계를 가지고 표준화된 공정과 절차에 따라 정밀도를 가지고 정형화된 크기로 제조되는 대부분의 현대금속 제품과 달리, 이 띵샤는 고대 티베트의 사형주조 방식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왔다. ​ 띵샤를 만드는 데 사용된 원형 또는 ‘빈(여백, blank)’ 틀은 원래 히말라야 산기슭에 있는 인도 북쪽 마을 데라둔(Dehradun)에 정착한 동부 티베트 출신의 난민 중 주물공 가족에 의해 1959년에 티베트에서 왔다. 그 이후로 그들은 그들의 전통 기술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수하면서 의식적인 종과 띵샤를 만드는 기술을 계속해 왔다. ​ 사형주조 기술은 청동 조각상 주조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탈납주조(lost wax) 방식과 다르다. 탈납주조 방식에서 주조될 물체는 먼저 왁스로 조각..

띵샤(Ting-sha) - 치유적 사용

요즘 우리는 오라에 대해 꽤 많이 알고 있고 오라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고 있다. 흔히 ‘몸’이라고 부르던 우리의 육체가 교란될 때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누구에게 도움을 청해야 하는지 알게 된다. 그러나 사람은 신체와 아우라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는 여러 개의 신체가 있다. 그중 하나가 소위 천상의(에테르, etheric) 몸이다. ​ ​ 이 천상의 몸은 범용적(universal) 정보 필터의 기능을 한다. 즉, 어떤 종류의 외부 정보도 이 몸에 의해 수신되면 올바른 장소로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모든 것이 적절히 흡수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온전한 천상의 신체를 가진 사람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에 항상 대처할 수 있고 적절한 방식으..

띵샤(Ting-sha) - 장식

장식 ​ 티베트의 띵샤의 초기 형태는 장식되지 않았고, 인도의 탈람(talam)을 본떠서 만들어졌다. 장식된 모양은 아마도 19세기 말에 처음 나타났을 것으로 보이며, 불교의 ‘팔괘’의 동기로 윗면에 새기게 되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새로운 장식 디자인을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 여기에는 쌍으로 된 용, 소용돌이 연꽃무늬, 소라껍데기, 관세음보상(Avalokiteshvara) 6음절 만트라 등이 있다. ​ 인도의 탈람(talam) ​ 쌍으로 된 띵샤는 윗면에 볼록한 상서로운 팔괘를 새겨 넣거나 윗면에는 8장의 연꽃무늬를 새겨 놓고, 오목한 부분에는 세 게의 신성한 티베트의 음절(Om A Hum)이 새겨져 있다. 8가지 상서로운 심벌은 고대 인도에서 기원한 것이다. ​ ​이는 사실상 역사적..

띵샤(Ting-sha) - 치는 방법

치는 방법 전통적으로 띵샤를 칠 때는 모두 심장 앞에서 친다. 가죽끈은 각 심벌즈의 중앙 바로 위에 있는 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로 잡고 있고, 띵샤를 들고 바로 치기만 하면 된다. 지름의 길이는 2.35인치에서 3.65인치(6cm ~ 9.3cm)이다. 상대적으로 최근에 추가되어 양각 형태의 띵샤 표면 위의 장식은 반응성을 감소시켜 상단부분의 손실을 초래하고 울림의 길이를 단축시켜 장식이 없는 띵샤로 공간 정화를 한다. 로버트 비어(Robert Beer)의 책에 따르면 띵샤가 ‘E’ 장조의 음을 낸다고 했지만 그렇지 못한 띵샤가 더 많다. 로버트 비어는 평균 12초를 울려야 한다고 하지만 실험해 보니 24초 동안 울리는 띵샤도 있어, 띵샤를 고를 때 15초를 평균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린다. 지속적인 소리..

생리통(Menstrual cramps) - 사례자 1

생리통(Menstrual cramps) 생리통은 월경 주기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주기적 골반 통증을 뜻합니다. 생리를 하는 여성의 60%가 생리통을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입니다. 생리통은 골반 장기의 이상 유무에 따라 일차성 생리통과 이차성 생리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즉, 골반 장기에 이상이 없으면 일차성 생리통, 골반 장기의 이상에 의한 생리통이라면 이차성 생리통으로 분류한다. 생리통은 증상의 유형과 정도가 다양하고,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가볍게 여기는 여성이 많다. 40대의 기혼 여성으로 요가강사를 하고 있는 분으로 생리를 처음 시작한 때부터 생리불순과 생리통으로 고생을 해오고 있었다. 요가를 해 오고 있던 분으로 요가를 통해 생리통을 치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생리 때 너무 배..

띵샤(Ting-sha) - 이해

띵 샤(Ting-sha) ​ 고대의 띵샤(Ting-sha) 중에는 UFO 모양을 다소 닳았은 것들이 있어 외계인들이 준 선물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띵샤의 소리가 바른 마음가짐을 떠올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것들이 행성 간 존재들과 우리의 관계를 떠올리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다. 우리의 육체는 우주에서 유일한 형태의 생명체가 아니기에, 행성 너머에 있는 존재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띵샤를 치는 의식이었을 것이다. ​ 다양한 형태의 띵샤(Ting-sha) 이해 ​ 티베트어로 ‘띵(ting)’이라는 용어는 금속의 울리는 소리, 음의 음률, 또는 불교 제단 위에 놓인 작은 은, 청동, 종 금속 제물 그릇을 가리킨다. 티베트어로 ‘샤(sha)’이라는 용어는 ‘걸림(hang..

싱잉볼 다루기 - 쓰다듬기(Stoking)

쓰다듬기(Stoking) ​ 상징성 ​ 싱잉볼 쓰다듬기는 싱잉볼 테두리 전체를 원의 형태로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원의 상징은 샷티(Shakti), 시바의 여신을 상징한다. 우리가 싱잉볼을 쓰다듬을 때 그 소리는 천천히 나타나고, 소리가 최대 진폭에 도달하면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런 소리를 듣는 사람의 뇌는 주변의 안정과 안전을 인식하기 때문에 긴장을 푼다. 일반적으로 뇌의 가장 원시적인 기능은 항상 주변 환경에서 새로운 소리를 경계하도록 하여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경고를 하는 것이다. 소리가 일정할 때 위협으로부터 안전함을 느끼고 긴장을 풀 수 있는 환경에 뇌를 둔다면, 뇌의 다른 부분들이 정화와 이완을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틱으로 쓰다듬으며 생성된 안정적이고 느린 맥놀이..

싱잉볼 다루기 - 치기(Striking)

싱잉볼 다루기 - 치기(Striking) 싱잉볼을 연주하는 행위는 우리들을 시간의 흐름 속에 놓이게 하고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공존하며 상호의존적인 시간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우리가 싱잉볼을 치는(striking) 동안 그 소리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도달하는 것으로 여겨지어, 소중한 교감의 순간을 지나 조금 더 풍성하고 신성한 소리로의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이런 변화된 의식 상태를 통해 우리는 다시 영적 길에 힘을 실어주었던 시공간으로 돌아온다. 싱잉볼을 쓰다듬는 것(stroking)은 우리가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행성처럼 고정된 지점을 감싸는 듯하거나, 이 중심에서 벗어나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팽창하는 구체로 이동하는 감각을 구현한다. 스트라이커와 스틱 싱잉볼을 연주하는 데는 두 가지..

싱잉볼 종류 - 모양 분류

싱잉볼 종류 - 모양 분류 때때로 어떤 범주나 스타일에 어울리지 않는 싱잉볼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런 싱잉볼을 보게되면 같은 문화적 맥락, 비슷한 금속, 표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만약 이런 싱잉볼이 좋은 소리를 낸다면, 만약 싱잉볼이 노래를 한다면, 싱잉볼이 그 무엇을 위해 만들어졌든 상관없이, 이런 싱잉볼은 싱잉볼 시장으로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은 매우 특별한 종류 중 하나가 되기도 하고, 드물지만 몇몇 싱잉볼을 매년 만나게 될 것이다. 어떤 것은 가운데에 입체적인 부처가 새겨져 있기도 하며, 또는 추가적인 기능이 붙여 있을 수도있다. 싱잉볼은 시대를 거치며 변화해 왔고 변화해 갈 것이다. 이런 싱잉볼을 열린 마음과 자세로 바라보고 받아 들인다면 그 에너지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728x90
반응형